[종합]최경환 "증세는 마지막 수단...복지수준 합의 먼저"

입력 2015-02-04 18: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일 '증세 없는 복지' 와 관련 "증세는 마지막 수단이고 복지 수준에 대한 합의가 먼저 있어야 재원 조달 방법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현안 보고에서 최근 여당 지도부가 지적한 증세 없는 복지에 대해 이같이 피력했다.

이는 복지 수준을 정한 뒤 재원 조달을 위한 증세 여부를 검토할 수 있고 증세는 마지막 수단이 돼야 한다는 의미로 사실상 현재로선 증세에 반대한다는 종전 입장으로 풀이된다.

이어 최 부총리는 증세 없는 복지를 공약한 박근혜 대통령이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는 지적에 "(그런 공약을 했는지) 구체적으로 기억하지 못하겠다"면서 "현재 지난 대선 때 나왔던 공약 가계부에 따라 복지 공약을 실천 중이고 지하경제 양성화나 세출 구조조정을 통해 최대한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지하경제 양성화나 세출 구조조정 등을 통해서도 (재원 확보가) 안 되는 경우가 발생하면 국민 공감을 통해 마지막 수단으로 증세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고복지-고부담, 중복지-중부담, 저복지-저부담 등 복지에 대한 생각이 여당, 야당, 국민 모두 다르다"면서 "국회에서 이런 부분에 대한 컨센서스를 이뤄주면 합의된 복지 수준에 맞는 재원 조달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증세가 없는 복지가 아직도 가능하다고 생각하는냐"는 질의에 "저 스스로 '증세 없는 복지'라는 말을 입에 올린 적 없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현 정부에서 서민증세가 이뤄졌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정부는 세율 인상이나 세목 신설을 증세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세율을 올린다고 세금이 더 걷힌다는 것은 경험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현안 보고 인사말을 통해 '13월의 세금폭탄' 논란을 불러온 올해 연말정산과 관련해 "체감 세부담이 늘어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 데 대해 다시 한번 송구스럽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연말정산이 완료되면 오는 3월까지 근로소득자 1천600만명의 모든 경우에 대해 과세 구간별·가구 형태별로 세부담 증감 등을 면밀히 분석해 공제항목 및 공제수준을 조정하는 등 구체적인 보완대책을 마련토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 중에 원천징수 방식을 개선하고 연말정산 신고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관련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연말정산 제도에 대해서는 "고소득자의 세부담은 증가시키되 중산·선민층의 세부담은 경감하기 위해 여야 합의로 전환했다"면서 "(소득공제를 세액공제로 바꾼 것을)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연말정산 과정에서 총급여 7000만원 이상을 세부담이 늘어나는 고소득층으로 분석한데 대해 "세금, 학원비, 대학등록금 등을 빼고 나면 한 달에 450만∼500만원 받는 본인들로서는 고소득층이 아니라 중산층이라고 느끼겠지만, 통계상으로는 그분들이 상위 10%라는 점은 분명하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연말정산 보완책의 소급적용에 대해 "개인적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국회에서 법적 근거를 마련해주시면 억울한 국민을 구제한다는 선의의 효과가 있어 소급적용을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소득세 세수는 늘어나는 반면 법인세 세수는 줄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법인세는 전년 영업실적에 따른 것인데 삼성전자, 현대차를 비롯해 주요 대기업의 실적이 좋지 않다"면서 "비과세나 공제가 많이 줄었기 때문에 이런 부분은 (세수 증가에)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최 부총리는 "법인세는 국제 경쟁을 감안해야 한다"면서 "우리보다 사정이 좋지 않은 일본도 법인세 낮추겠다고 하고 미국의 예산안에도 법인세 대폭 내리는 것으로 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의 골프 활성화 발언과 관련해 세율 인하 등을 검토하고 있느냐는 질의에는 "현재로서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