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J 디바 등은 인터넷 방송 아프리카TV에서 먹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인기를 얻은 스타로 비상한다. 영화 ‘황해’에서 음식을 무지막지하게 먹는 하정우는 ‘먹방의 지존’으로 화제의 중심에 선다. KBS ‘슈퍼맨이 돌아왔다’에서 음식을 폭풍 흡입하는 추사랑과 뭐이든 맛있게 먹는 삼둥이 대한, 민국, 만세가 단연 인기다. ‘무한도전’, ‘식신로드’의 정준하는 엄청난 양을 먹는 것만으로 눈길을 끈다. 먹는 것을 보여주는 ‘먹방’은 방송 등 대중문화의 하나의 강력한 트렌드가 됐다. 뿐만 아니다. tvN ‘삼시세끼’에서 장어구이, 홍합짬뽕, 고추잡채를 능수능란하게 만드는 차승원의 모습은 시청자의 엄청난 관심을 촉발시키고 KBS ‘1박2일’과 SBS ‘런닝맨’은 멤버들의 요리 만들기를 종종 아이템으로 잡아 시청자에게서 열띤 반응을 이끌어낸다. 최현석 등 일부 요리사들은 방송 예능 프로그램에 나와 화제의 중심에 서면서 연예인 못지 않는 인기를 누리고 있다. 방송 프로그램에선 요리사와 연예인, 일반인들의 음식 만들기 일명 쿡방(Cook+방송)이 대세가 되고 있다.
대중문화의 중심에 요리 쿡방과 식사 먹방이 강력하게 자리 잡은 것이다. 일회성 관심과 트렌드가 아니다. 쿡방과 먹방은 사회·경제적 요인과 문화적 이유, 그리고 가족 형태의 변모로 강력한 트렌드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쿡방은 진행자와 요리사가 나와 특정 요리를 만드는 법을 직접 요리하면서 보여주는 가장 전통적인 EBS ‘최고의 요리비결’에서부터 요리사와 연예인이 나와 요리 경연을 펼치는 SBS ‘쿡킹 코리아’까지 매우 다양하다. 시청자와 만나고 있는 쿡방만도 MBC ‘찾아라 맛있는 TV’, KBS ‘한국인의 밥상’, JTBC ‘냉장고를 부탁해’, tvN ‘수요미식회’, ‘삼시세끼’ 등 수십개에 달한다. 포맷도 내용도 출연자도 다양하다. ‘아메리칸 셰프’, ‘식객’ 등 요리와 음식에 관련된 영화나 만화 역시 최근 들어 크게 늘어나며 높은 관심을 끌고 있다.
인터넷 방송 아프리카TV에서 불기 시작한 먹방 열풍은 지상파 예능프로그램과 드라마, 영화 속으로 파고들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슈퍼맨이 돌아왔다’, ‘아빠 어디가’ 등 예능 프로그램들은 앞다퉈 출연자들의 먹는 장면을 집중적으로 내보내는 것이 일상의 모습으로 자리를 잡았고, 먹는 것을 소재로 한 ‘식샤를 합시다’ 같은 드라마까지 만들어지고 있다.
방송사 PD들은 “먹는 것과 요리를 하는 것은 일반사람들의 가장 큰 관심 중 하나이기에 앞으로 식사와 요리가 더욱 더 많은 프로그램이나 대중문화의 소재로 등장할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그렇다면 먹방과 쿡방 관련 대중문화 콘텐츠가 쏟아지고 이에 대해 대중이 열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회와 산업구조, 가족 형태의 변화로 인해 식구(食口)가 줄어든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 전문가들에 의해 제기되고 있다. 1인 가구의 증가, 바쁜 직장생활 등으로 가족이 모여 요리를 하고 함께 식사하며 이야기하던 식구의 모습이 최근 들어 크게 줄어들었다. 식구의 감소는 요리와 음식을 먹으면서 가족의 정을 쌓았던 것에 대한 욕망을 촉발시켰고 쿡방과 먹방이 외로움과 허전함, 가족의 정에 대한 욕구를 간접적으로 충족시켜주면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는 것이다.
대중문화 평론가 정덕현씨는 “사람들이 고달픈 현실과 미래의 막막함으로 인해 스트레스나 상처를 받는 경우가 많은데 음식을 만들면서 자신을 치유하고자 하는 셀프 힐링이 많아지면서 음식과 요리 관련 대중문화 콘텐츠가 많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직업 등 자신의 일에 빠져 삶에서 매우 중요한 음식과 요리 부분을 놓치고 살아온 것에 대한 반성이 쿡방과 먹방의 열기로 발현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또한 생활수준의 향상과 웰빙 바람으로 먹는 것에 대한 대중의 관심 고조도 먹방과 쿡방의 인기를 높이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물론 방송을 비롯해 대중문화에서 횡행하고 있는 먹방과 쿡방의 이상 열기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프랑스 언론이 지적했듯 먹방 등은 ‘푸드 포르노’의 전형적인 사례이고 이는 타인의 식탐을 관음하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는 비판이다. 이런 비판에도 불구하고 먹방과 쿡방은 다양한 형태와 내용으로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왜냐하면 사회와 가족 그리고 사람의 라이프스타일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먹는 것과 요리하는 것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먹방과 쿡방의 효과나 기능도 변모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