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9재보궐선거가 시작됐다.
정권 최대의 부패 스캔들이 터진 가운데 벌어지는 선거인 만큼 선거 결과에 따른 여야의 희비도 어느 선거보다 강하게 엇갈릴 전망이다.
양당 대표 취임 이후 첫 맞대결인 점도 선거 결과의 중요성을 키우고 있다. 특히 이들은 대권주자로서 주가를 올리고 있어 승패에 따라 직격탄을 맞을 수도 있다.
정치권 관계자들과 전문가들은 어느 한 쪽이 전승하거나 전패하는 경우는 나오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한다. 하지만 만약 이 같은 결과가 나올 경우, 성완종 사태를 비롯해 공무원연금 개혁과 새로운 총리 인선 등 현안의 처리에도 영향을 미칠 것은 자명하다.
여야는 서로 ‘불리한’ 선거임을 강조하며 승리 조건을 2석 이상으로 내걸고 있다. 여당이 2석, 혹은 그 이상의 승리를 차지할 경우 김무성 대표의 당내 장악력은 보다 공고해지며 야당의 공세도 수월하게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가 강조하고 있는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추진에도 탄력이 붙는 한편, 당·정·청 관계에서도 주도권을 쥘 수 있다. 청와대 역시 성완종 사태의 국면 전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승리를 바랄 것이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당내 입지 약화는 피하기 어려울 것이며 내년 총선 체제를 꾸리는 일에도 타격이 이어질 전망이다.
야당에서 2석 이상의 승리를 획득할 경우, 성완종 사태를 비롯해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 등의 이슈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 문 대표의 당내 장악력이 높아짐에 따라 당 혁신 작업에도 힘이 실리는 한편, 대권주자로서 위상도 공고히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야권의 승리는 여당과 청와대의 국정운영 추진 동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로도 이어질 수 있다. 김무성 대표의 경우 ‘책임론’이 자유롭지 못하며, 친박(친박근혜)계의 비판도 거세질 것이다.
야당이 승리할 경우에도 변수가 있다. 서울 관악을과 광주 서을에서 각각 출마한 국민모임 정동영·무소속 천정배 후보가 당선될 경우, 야권 재편 작업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셈법이 복잡해진다. 이들의 당선은 국민모임의 창당 전 원내 진출이라는 성과로 이어져 제3신당의 출연이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