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산업계, 유관기관이 ESS(Energy Storage System:에너지저장장치) 산업 활성화를 위해 머리를 맞댔다. ESS는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하였다가 필요시 사용하는 전력저장 장치로, 에너지신산업 분야의 핵심 분야로 꼽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오전 서울 팔레스호텔에서 ESS 기업 및 학계, 연구계, 유관기관 등과 간담회를 열고 ESS 산업 및 정책 최신 동향, 국내 ESS 산업 현황과 문제점, 개선방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삼성SDI, LG화학, 코캄, LS산전, 효성, 우진산전 등 ESS 업계 및 협회 관계자, 한국전력, 에너지기술평가원, 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관리공단 등 유관기관 관계자 등 18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이 자리에서 세계적으로 시장 창출 단계의 초기 산업인 ESS의 특성상 경제성 등 아직 해결해야할 부분이 있지만 ESS가 스마트그리드, 신재생에너지, 마이크로그리드, 전기차 등 에너지신산업 생태계 구축의 핵심 요소라는 점에 공감했다. 특히 업계와 정부가 힘을 합한다면 새로운 수출 효자 품목이 될 것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산업부는 박근혜 대통령이 제시한 24개 핵심 개혁과제 중 하나인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신산업 육성’ 차원에서 지난달 첫번째 '에너지 신산업 활성화 및 핵심 기술개발 전략‘ 이행계획을 발표하고, 에너지신산업 분야별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한 바 있다.
문재도 2차관은 “ESS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가격경쟁력과 신뢰성을 확보해 시장 활성화ㆍ해외 진출 확대에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면서 “대내외 여건과 시장상황에 따라 지속적으로 규제 개선사항과 정책 과제를 발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업부는 ESS산업 육성을 위해 평가․인증 등을 통한 신뢰성 확대, 일반수용가․비상발전기 등 보급 확대, 금융 모델 결합 등 민간 주도 사업 추진 지원 등 다양한 정책방안을 검토 중이다.
전력 품질 개선을 위해선 주파수 조정용, 신재생에너지 출력 안정화 등으로 3년간 총 660MWh의 대규모 보급 사업을 통해 국내 ESS 사업자의 실적 확보를 지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