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ㆍ마스터카드 비대면 거래 보안에 적용…문자메시지 음성으로 전환 이어셋도
목소리에도 개인마다 무늬가 있다? 이른바 성문(聲紋·voiceprint)이 지문(指紋·fingerprint)처럼 개인마다 다르다는 것이 밝혀진 것은 세계 2차대전 때다. 미군이 적의 무전병 목소리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였다. 벨연구소의 로렌스 커스타는 1962년 성문을 토대로 화자 식별법을 개발했다.
그의 연구 성과는 1965년 로스앤젤레스 폭동 때 빛을 발했다. CBS방송 기자가 얼굴을 가린 한 청년과 인터뷰를 했는데, 그는 자신이 건물에 불을 질렀다고 자랑한 사건이 있었다. 경찰은 에드워드 리 킹을 방화 용의자로 체포했다. 에드워드는 범행을 부인했다. 그러나 커스타는 자신이 개발한 화자 식별법으로 CBS 인터뷰를 한 사람과 용의자가 일치한다는 사실을 증명해냈다. 이후 목소리를 활용한 수사기법은 미국 연방수사국(FBI)의 기본 수사 방침으로 자리 잡았다.
음성인식 기술은 단순히 단어를 알아듣고 이를 실행에 옮기는 기초적 단계를 넘어, 개개인마다 고유의 목소리 주파수를 잡아낸다. 목소리는 폐에서부터 공기가 위로 올라와 성대를 거쳐 구강과 입술까지 이르러야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똑같을 수가 없다. 성문 분석 결과라 틀릴 확률은 겨우 10만분의 1이다. 그야말로 ‘완벽 인증’이라는 의미다.
음성인식 기술은 오사바 빈 라덴과 사담 후세인의 육성 테이프가 본인이 직접 녹음한 것임을 확인했다. 미국에서 출간된 흐루쇼프 회고록의 녹음 테이프 진위 논란도 단번에 잠재웠다. 유엔 총회 연설음과 비교 결과 진본으로 판정된 것이다. 심지어는 최근 이슬람국가(IS) 복면 군인의 미국 기자 참수 동영상이 공개된 지 이틀 만에 미·영 정보당국이 범인은 런던 동부 또는 남부 출신이라고 밝혀내기도 했다.
국내에 음성인식 기술이 도입된 것은 1987년이다. 국립과학수사연구소는 이를 바탕으로 이듬해 일어난 Y양 유괴사건 등을 손쉽게 밝혀냈다. 최근 기승을 부리고 있는 보이스피싱과 같은 범죄 수사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음성인식 기술은 새로운 보안 솔루션으로 각광을 받으며 범죄 수사뿐만 아니라 금융 거래에 속속 적용되고 있다. 세계적 보험기업인 메트라이프생명은 음성인증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애플과 비자, 마스터카드 등은 음성인식을 포함한 각종 생체인증 수단을 도입해 보안성을 극대화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BC카드를 비롯한 국내 금융권들도 음성인증을 도입해 비대면 거래를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음성인식 기술은 본인 인증을 넘어 운전 중 안전을 지켜주는 도우미로도 활용되고 있다. 필리아 아이티는 음성인식 기반의 이어셋 ‘코레나’를 개발했다. 코레나는 90%대의 높은 음성인식률을 자랑하며 문자(SMS)까지 음성으로 변환해 준다. 이 기능은 운전 중 휴대전화 문자 확인으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음성인식을 활용한 인증기술은 편리하고 정확하며 비접촉 방식이라 위성적이라는 장점이 있다”며 “데이터 베이스만 쌓이면 언제 어디서나 비교 대조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지문인증과 함께 가장 널리 쓰이는 보안 수단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