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에 인상 시그널 후 10월에 인상 단행 가능성”
올해 9, 10, 12월 세 차례 남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중 연방준비제도(Fed)가 어느 시점에 금리인상을 단행할지 의견이 분분하다.
앞서 미국 경제지표가 꾸준히 호조를 띠자 ‘9월 인상론’이 힘을 받는 듯했다. 하지만 연준 통화정책 향방을 가늠해 줄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8월 고용지표가 지난 4일(현지시각) 혼재돼 나타나자 초저금리(0~0.25%) 기조가 7년 만에 바뀔 시기가 다시 안갯속으로 들어갔다.
특히 고용지표 공개 이후, 9, 12월 FOMC와 달리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이 없어 배제됐던 10월까지 금리인상 시점으로 부각돼 눈에 띈다. 옐런 의장이 금리 인상 시점을 연내로 못 박은 상황에서 9월은 너무 이르고 12월은 너무 늦다는 해석이 퍼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옐런 의장은 기자회견 여부가 연준의 정책 결정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장보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미 고용이 기조적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금리인상 시기를 확률로 보면 10월이 가장 높고 12월, 9월 순이다”며 “요동치는 글로벌 금융시장, G20 국제통화기금(IMF) 등의 우려로 연준이 공세적으로 금리인상에 나서기 어려운 상황임에 따라 9월보다는 10월에 옐런 의장이 특별기자회견 등을 여는 방식으로 금리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김문일 유진투자선물 연구원은 “미국 8월 비농업부문 고용이 부진한 모습을 보인 원인은 계절요인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연준 9월 금리인상 경계심은 지속할 것”이라면서도 “9월에 강하게 금리 인상 신호를 주고 10월에 인상해, 시장 충격을 최대한 완화하는 방식으로 접근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예상했다.
9월 미 금리인상 전망을 고수하면서 12월보다는 10월을 차기 후보로 꼽기도 했다. 허진욱 삼성증권 연구원은 “미국 8월 고용이 여전히 양호한 개선 추세를 유지해 9월 금리인상 전망(확률 50%)을 유지한다”면서도 “예상과 달리 9월에 금리인상을 보류하면 이는 펀더멘털 요인이 아니라 금융시장 불안에 기인했다는 점에서 12월보다는 10월 인상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