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유미 산업2부 차장
“(업계) 그런 검토 한 적 없다(10월 28일)”
“(정부) 한진해운-현대상선 강제 합병 추진(11월 9일)”
“(해수부) 양사 체제 검토 및 선사 매각 등 대책 발표한 적 없다(11월 9일)”
“(금융위) 자발적 또는 강제합병 추진한 적 없다(11월 9일)”
“(언론) 현대그룹, 현대상선 경영권 포기한다(11월 9일)”
“(현대그룹) 현대상선 포기 계획안 제출한 적 없다(11월 9일)”
“(언론) 채권단, 현대차·현대중 등 범현대가 지원 검토(11월 10일)”
“(현대차) 현대상선 인수 검토한 바 없다(11월 10일)”
“(언론) 정부, 특수목적법인(SPC) 세워 해운업 구조조정 추진(11월 10일)”
“(금융위) 해운사 SPC 설립 안한다(11월 10일)”
“(금융위) 확인되지 않은 추측성 보도 자제해달라(11월 10일)”
최근 2주간 제기된 수많은 주장들이다. 한눈에 봐도 정부·채권단·언론이 제각각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정부는 컨트롤타워가 없어 부처별 합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언론들은 사실 확인보다는 속보에 혈안이 돼 있다. 특히 언론에서는 매체 별로 한진해운·현대상선을 이리 쪼개보고 저리 붙여보는 등 너무나도 상반되는 내용들을 보도했다. 심지어 구조조정 시험대에 오른 현대상선에 대한 범현대가의 지원 방안설까지 부상했다. 정부와 당사자들은 해명자료 내기에 급급했고, 정부는 이제서야 컨트롤타워를 만들자고 한다. 오죽했으면 금융위원회가 언론에 중대 현안인 기업구조조정과 관련해 “확인되지 않은 보도들이 계속되고 있어 시장에 큰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며 신중한 보도를 요청하고 나섰겠는가. 실제 이틀 동안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주가는 폭락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한진해운·현대상선 등 당사자들은 당황스럽다.
물론 여러 가지 설들이 난무하는 것은 해운업을 살려야 한다는 필요성에 공감하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정부 부처, 채권단, 언론 등이 한목소리를 내지 않는 이상 혼란은 계속되고 이들 업체를 살리는 방법들이 산으로 갈 수밖에 없을 것 같다.
해운 업계는 지금 정말 힘들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본격화한 2009년 이후 장기적 불황의 늪에서 허덕이다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은 2013년 12월 그룹을 통해 고강도 자구책을 발표, 100%에 가까운 이행률을 보였다. 하지만 시황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물동량은 계속적으로 줄어들고 유가 하락, 선사들 간 경쟁으로 운임 하락이 가속화되고 있어 두 회사는 누적적자만 불어나고 있다. 수익성 개선 여부가 불확실하고, 현금 흐름도 외부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셈이다.
이 상황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주체는 정부다. 오랜 기간 위기설이 거론됐던 선사들을 어떻게든 살려보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제대로 반영되려면 한목소리를 낼 수 있는 컨트롤타워 없이는 힘들다. 파산위기에 처한 세계 3위 CMA-CGM를 살려낸 프랑스 정부, 수십조원 지원금은 물론 세계 6·7위인 COSCO그룹과 차이나시핑그룹 합병을 성공시킨 중국 정부의 성공 노하우를 조금이라도 배우려면 여러 부처가 합심해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