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첫 적자에 일본 대형 철강사 통합까지…세계 철강업계 덮치는 차이나쇼크

입력 2016-02-01 16:19수정 2016-02-02 10: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국의 과잉 생산과 그에 따른 시황 악화로 글로벌 철강업계가 혹독한 시기를 보내고 있다. 실적 악화는 물론 감원과 구조조정에도 상황이 여의치않자 동종 업체간 통합도 불사하는 등 생존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1일(현지시간) 일본 최대 철강사인 신닛테쓰스미킨(新日鐵住金)은 4위 닛신세이코(日新製鋼)를 인수하기로 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신닛테쓰스미킨은 닛신세이코 주식의 절반을 인수해 자회사화 한다. 신닛테쓰스미킨은 현재 닛신세이코 지분 8.3%를 보유한 최대 주주로, 향후 주식 공개매입(TOB)을 통해 지분율을 51%까지 추가로 늘릴 계획이다. 지난달 29일 닛신세이코의 주식 종가를 기준으로 하면 인수액은 500억 엔(약 4954억원)이 될 전망이다.

신닛테쓰스미킨이 지난 2012년 스미토모금속공업을 인수한 지 4년 만에 닛신세이코를 또 품기로 한 건 중국발 시황 악화가 배경에 있다. 중국의 과잉 생산으로 세계 철강 시황이 악화함에 따라 생산 설비 통합으로 비용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지난해 세계 조강 생산량은 16억2280만t. 이 가운데 중국이 8억383만t으로 약 50%를 차지했다. 지난 10년간 생산량은 2배 이상 늘었다. 하지만 중국이 경기 둔화로 수요가 침체해 남은 제품을 동아시아 시장에 수출하기 시작하면서 업계 전반이 타격을 입었다. 지난해 중국의 수출량은 1억1000만t으로 일본의 2014년 생산량인 1억515만t을 웃돈다.

중국발 역풍을 맞은 건 이 두 회사만이 아니다. 한국 최대의 철강사인 포스코는 지난달 28일 2015 회계연도에 사상 첫 적자를 냈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포스코의 매출은 2014년 대비 11% 감소한 58 조1920억원, 순손실은 960억원이었다. 당시 권오준 회장은 “대부분의 철강사의 실적 악화의 주원인은 중국의 공급 과잉과 그에 따른 저렴한 강재의 유입”이라고 실적 악화의 이유를 설명했다. 중국산 저가 철강재 수입량이 10년 전의 2배로 늘면서 업계의 채산성이 급격히 악화한 데다 달러 강세에 따른 환차손도 실적을 압박했다는 분석이다.

1일에는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로부터 신용등급 강등이라는 굴욕까지 당했다. S&P는 포스코의 장기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하고, 장기 신용등급과 채권등급은 ‘BBB+’를 유지했다. S&P는 “역내 철강 수요 둔화와 가격 약세로 인해 향후 12개월 동안 포스코에 어려운 영업환경이 지속될 것”이라며 “영업실적 약화로 신용지표가 향후 1~2년 내에 현재 신용등급에 상응하는 수준 이하로 약화될 가능성이 ⅓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세계철강협회에 따르면 2015년 중국의 철강 수요는 전년 대비 3.5% 감소한 6억8590만t, 2016년은 2% 감소하는 등 침체가 지속될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도 중국에서는 약 4억t의 생산 능력이 과잉이어서 겨우 생존을 위한 염가 판매가 횡행, 남아도는 제품은 헐값에 해외로 수출하고 있다.

서구 철강대기업들도 중국발 악재에 직격탄을 맞고 있다. 미국 대형 철강업체인 US스틸은 2015 회계연도 4분기(10~12월)에 최종 9억9900만 달러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세계 최대의 철강사인 유럽 아르셀로르미탈도 작년 7~9월에 유럽 부문에서 영업적자를 냈다. 인도 타타제철도 유럽 부문이 적자를 내면서 영국에서 1050명의 감원을 발표했다.

위기의 진원지인 중국 기업들도 상황이 좋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바오산강철은 작년 4분기 순이익이 83% 감소한 9억6100만 위안으로 순이익은 전년보다 크게 줄었다. 바오산철강 대표는 “업계 대부분이 적자가 예상된다”며 “중국의 철강 산업은 겨울의 시대에 접어들었다”고 한탄했다.

상황이 악화일로로 치닫자 리커창 중국 총리는 지난달 산업계 시찰 중 “팔을 잘라낼 각오로 설비 과잉을 해소하라”며 철강과 석탄산업 합리화 방안을 지시했다. 중국 국무원은 즉각 행동에 나섰다. 국무원은 지난 주말 조강 생산 능력을 1억~1억5000만t 감축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그동안 공급 과잉 해소 시 후유증을 우려해 상황을 좌시하던 중국 당국의 위기감이 그만큼 심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 정부는 이번 잉여 시설을 폐기하면 보조금을 지급하고 실업자를 구제하는 정책을 실시할 방침이지만 확실한 건 아무것도 없다는 게 전문가들 사이의 중론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