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로 보는 경제 톡] 현대상선ㆍ한진해운 목숨줄 잡은 ‘용선료’…임종룡의 ‘한 수’ 통할까?

입력 2016-05-16 17: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해운 구조조정 이번 주 운명 갈린다’

오늘(16일) 이투데이 1면 헤드라인입니다. 채권단과 ‘조건부 자율협약’을 맺은 현대상선이 이번 주 해외 선사들과 용선료 인하 협상을 벌인다고 하네요. 현대상선에게 주어진 기한은 단 사흘입니다. 만약 이번에도 용선료를 깎지 못하면 현대상선은 법정관리가 불가피합니다.

이달 초 자율협약에 들어간 한진해운 역시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채권단이 내건 3가지 조건 중 하나(글로벌 해운동맹 ‘디 얼라이언스’에 잔류)는 충족했지만, 용선료 인하 협상이란 더 큰 산이 남아있죠. 데드라인은 7월 말까진데요. 약속을 지키지 못하면 한진해운 역시 법정관리를 피할 수 없습니다.

국내 해운업계 ‘빅2’의 목숨 줄을 잡은 용선료. 도대체 용선료가 뭐길래 한 나라 뿌리산업까지 휘청이게 하는 걸까요?

‘용선료(傭船料)’란 배를 빌려 쓴 해운사가 선주(배 주인)에게 주는 돈을 말합니다. 배 임대료라고 생각하면 되겠네요. 뜻은 어렵지 않습니다.

중요한 건 ‘왜(Why)’입니다. 해운사가 배를 빌린 이유 말입니다. 선사는 여객과 화물을 운송하고 화물 주인(하주)로부터 운임을 받습니다. 2000년대 초반까지는 장사가 잘 됐습니다. 배가 부족할 정도로 화물이 넘쳐났죠. ‘거제도에선 동네 개도 지폐를 물고 다닌다’는 말이 나돌던 시기였습니다. 이때부터 해운사들은 배를 빌리기 시작했습니다. ‘하늘의 별보다’ 더 따기 어려운 고객을 ‘부족한 배’ 때문에 잃을 순 없으니까요.

배를 빌리려는 해운사가 넘쳐나자, 노랑머리 선주들은 용선료를 올렸습니다. 10~20년의 장기계약은 거의 기본이었죠. 조금만 따져 봐도 불공평한 계약이었지만, 당장 배가 필요했던 선사들은 앞뒤 가릴 것 없이 선주들의 요구조건을 모두 받아들였습니다. 한국 해운업이 ‘용선료 올가미’에 걸린 배경입니다.

(출처=금융감독원ㆍ하나금융투자 리서치센터)

불행히도 ‘호황의 끝’은 생각보다 빨랐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가 터지자 손님이 뚝 끊겼죠. 장사가 얼마나 안되느냐고요? 발틱 화물운임지수(BDI)라고 아시나요? 글로벌 해운 물동량을 지수화한 건데요.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지기 전인 2007년까지만 해도 BDI는 7000선을 넘나들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이 지수는 600선에서 맴돌고 있습니다. 석 달 전엔 200선까지 밀려났었죠. BDI가 처음 발표된 1985년의 1000보다도 낮습니다.

‘빅2’ 용선료 채무 규모
한진해운: 5,500,000,000,000원
현대상선: 5,200,000,000,000원

결국 용선료는 해운사들 ‘빚’으로 쌓이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한진해운과 현대상선 용선료 채무는 5조원이 넘습니다. 계약에 물려 선사들이 내고 있는 용선료는 현재 시세의 4~5배나 됩니다. 열심히 벌어서 선주들 배만 불려주고 있는 셈이죠.

따라서 해운사에게 용선료 인하는 발등의 불입니다. 하지만 아직 선주들은 느긋합니다. ‘빅2’를 살리기 위해 한국 정부가 나섰으니까요. 굳이 자신들이 용선료를 깎아주지 않아도 ‘정부에서 알아서 살려놓겠지’라고 기대하는 거죠.

“용선료 협상 안 되면 양대 해운사 법정관리는 불가피하다.” (임종룡 금융위원장, 4월 26일, 기업구조조정 회의서)

그런 선주들에게 임 위원장이 경고의 메시지를 날렸습니다. 무슨 뜻이냐고요? 현재 ‘빅2’는 법적 강제성이 없는 자율협약을 맺고 있습니다. 하지만 법정관리로 넘어가게 되면 사정은 달라집니다. 회사가 결정할 수 있는 게 하나도 없죠. 돈을 쓸 때마다 법원의 허가를 구해야 합니다. 임 위원장은 협상에 팔짱만 끼고 있는 노랑머리 선주들에게 “용선료 묶어 버리기 전(자금집행 중단)에 좀 깎아줘!”라고 옐로카드를 보낸 겁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

해운업은 우리나라 ‘뿌리산업’입니다. ‘문 닫은 빅2’로 끝날 문제가 아니죠. 수만 명의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게 되고, 돈 빌려준 은행은 시스템 리스크(위험성)가 커집니다. 가계소득이 줄어들 것에 대비해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네요. 운명의 갈림길에 선 한진해운과 현대상선. 선주들에게 마지막 경고장을 날린 임종룡 금융위원장. 이번 주 여러분이 챙겨야 할 기사 키워드입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