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처럼 따뜻한 계절엔 마라톤이나 걷기 대회가 많이 열리는데, 이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들이 있다. 족저근막염과 무지외반증 같은 발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다. 족저근막염은 마라톤병으로도 알려져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발바닥 힘줄에 염증이 생기는 족저근막염 환자는 2010년 약 9만1000여 명에서 2014년 17만8000여 명으로 2배 정도 증가했다. 엄지발가락 뼈에 문제가 생긴 무지외반증 환자도 2009년 약 4만1000여 명에서 2013년 약 5만6000명으로 늘었다.
족저근막염이나 무지외반증은 증상이 나타났다 사라지는 것을 반복한다. 이런 특징 때문에 조기에 적절히 치료받지 않고 방치해서 증상이 점차 악화하는 환자가 느는 것이다.
인천 모두병원 이동주 원장은 “족저근막은 발뒤꿈치뼈에서 시작해 발바닥 앞쪽까지 연결된 두껍고 강한 섬유띠”라며 “족저근막은 발바닥 전체에 퍼져 있으므로 발가락뼈와 발뒤꿈치뼈를 연결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족저근막이 계속 충격을 받거나 손상을 입어 염증이 발생하는 것이 족저근막염이다. 족저근막염이 있으면 발을 가만히 두면 통증이 없고, 발을 디딜 때 찌릿함을 느낀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의 뼈가 바깥쪽으로 변형되고, 엄지발가락이 둘째 발가락 쪽으로 휘어져 통증이 발생하는 병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엄지발가락 부위가 신발에 자극을 받아 통증을 일으킨다. 엄지발가락 뼈에 연결된 여러 개의 힘줄이 제 자리에서 벗어나도 발생한다.
족저근막염이나 무지외반증은 무리한 운동, 잘못된 생활 습관, 발에 무리를 주는 신발 착용, 비만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족저근막염과 무지외반증은 일시적으로 통증이 나타난다고 해서 치료를 미루면 안 된다. 통증을 오랫동안 방치하면 관절염으로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이동주 원장은 “족저근막염은 증상에 따라 약물, 물리치료, 주사, 체외충격파, 수술 등으로 치료한다”며 “최근에는 염증부위에 충격파를 가해 완화시키는 체외충격파가 널리 쓰인다”고 말했다.
무지외반증은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교정 등 보존적인 치료로 통증을 해결한다. 통증이 심각하면 관절염으로 악화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도 고려할 수 있다.
이 원장은 “족저근막염과 무지외반증을 예방하려면 갑자기 과격한 운동을 피하고 평소 체중 관리와 함께 꾸준히 몸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