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호 미래설계연구원 연구위원
안토니오 비발디(1678.3.4.~1741.7.28)는 ‘붉은 머리 사제’라는 조롱을 딛고 대가가 된 이탈리아의 작곡가, 바이올린 연주가, 성직자다. 미국 작가 재니스 시펠먼(여)은 ‘빨강머리 음악가 비발디’라는 그림책(그림은 남편 톰 시펠먼)에서 “그는 붉은 머리카락 때문에 조소를 받았으나 음악에 대한 강력한 의지 하나로 엄청난 업적을 남겼다”고 썼다.
베네치아에서 태어난 비발디는 산마르코대성당 바이올린 연주자였던 아버지에게서 음악을 배웠다. 15세에 신부가 됐지만 선천성 천식 때문에 미사를 집전할 수 없자 음악에 전념했다. 1703년부터 1740년까지 베네치아의 여자 고아원 겸 음악학교 피에타 고아원에서 일했다.
1716년엔 고아원 밴드부의 합주장에 올랐는데, 당시 유럽에서 명성이 높은 밴드부여서 그는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었고 주옥같은 작품을 많이 작곡했다. 만토바에서 악장으로도 일했으며, 한때 로마, 피렌체와 오스트리아 빈으로 연주 여행을 가기도 했다.
작품 중 바이올린을 주로 활용한 협주곡이 인기가 높다. 리듬이 경쾌하고 선율이 아름다운 게 특색이다. 신포니아 23곡, 합주협주곡 ‘조화의 영감’, 사계절의 변화를 표현한 바이올린협주곡 ‘사계’가 대표작이다. 한국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사계’는 표제 음악의 전형으로 일컬어진다. ‘조화의 영감’은 서울도시철도공사가 환승음악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는 500여 곡의 기악작품, 40여 곡의 오페라, 모테트, 오라토리오, 칸타타도 작곡했다. 베네치아나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다수 출판됐지만 지금은 수고(手稿)만 남아 있다. 오랫동안 잊혔던 비발디는 1927년 한 도서관에서 악보집이 발견되면서 재평가되기 시작했다. 그의 생애를 그린 영화 ‘안토니오 비발디-베니스의 왕자’도 제작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