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의 회장, 은행장 분리 이슈가 당분간 수그러들 전망이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 윤종규 회장은 오는 11월 임기가 끝날 때까지 KB국민은행장 겸직 체제를 유지하는 쪽으로 마음을 굳혔다. KB금융 사외이사들도 윤 회장의 뜻에 어느 정도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회장은 지주사 회장과 국민은행장의 내분으로 벌어진 이른바 ‘KB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해 2014년 취임 이후부터 은행장을 겸직해왔다.
윤 회장은 은행장을 겸직하면서 지배구조 안정에 힘써왔다. 하지만 굵직한 현안이 발생할 때마다 은행장 분리 이슈가 불거졌다.
가장 최근에는 현대증권(현 KB증권) 인수 후 KB금융 규모에 걸맞은 지배구조를 갖추기 위한 은행장 분리설이 또다시 고개를 들었다.
KB금융은 정부의 지분이 없지만, 핵심 계열사인 국민은행이 정책금융기관이었던 주택은행과 합병을 통해 탄생했다는 태생적 한계를 안고 있다. 국민은행장 인사에 정부 입김이 작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지난해 하반기엔 국민은행장에 낙하산 인사인 현기환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구체적으로 거론되기도 했다.
그러나 현 전 수석이 엘시티 비리에 연루되고, ‘최순실 게이트’의 여파로 낙하산 인사에 대해 좋지 않은 여론이 높아지면서 잠잠해졌다. 윤 회장 입장에서 국정농단 사태가 ‘외풍’에 대한 고민을 덜어준 셈이 됐다.
금융권에는 국민은행장 분리 이슈가 윤 회장의 임기 만료 직전에 본격적으로 다시 거론될 것이란 관측이 많다.
금융권 관계자는 “신한금융처럼 회장, 은행장의 임기를 3년, 2년으로 달리하고 시작점을 맞추는 것이 지배구조의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면서 “윤 회장이 연임에 도전하더라도 (지배구조에 대한) 부담을 덜고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윤 회장 임기 내에 은행장 분리가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자 김옥찬 KB금융 사장의 위치가 모호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 사장은 지난해 초 SGI서울보증으로 자리를 옮긴 지 1년 만에 친정으로 복귀했다. 김 사장은 당시 2년 반 만에 부활한 KB금융 사장직에 낙점된 인물이라는 점에서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김 사장은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이사회에 합류하지 못했다. 지주사 사장은 과거 사내이사로 선임돼 KB금융의 2인자 위상을 지켰다.
KB금융은 내규에 따라 회장이 부재할 경우 사내이사가 권한을 대행한다. 현재의 구조로는 윤 회장 부재 시 비상임이사인 이홍 국민은행 경영지원그룹 대표(부행장)이 대신하게 된다. 김 사장이 전임자들과 비교해 입지가 상대적으로 좁아질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KB금융은 최근 6명의 기존 사외이사의 임기를 1년 더 연장하고, 스튜어트 솔로몬 전 매트라이프 회장을 사외이사를 후보로 추천했다. 더불어 이 부행장의 비상임이사직 임기를 1년 더 늘렸다.
KB금융 관계자는 “김 사장이 이사회에서 빠졌다는 의미보다 비상임이사의 임기 연장은 국민은행을 배려하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사장을 추가로 선임하면 사내이사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사외이사를 늘려야 하는 만큼 이사회가 비대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