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보복 조치로 인한 관광산업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과거 메르스 사태나 일본 독도 분쟁 이후 상황과 비슷한 양상으로 전개될 경우 수십억 달러의 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정부가 컨트롤타워가 되어 동남아 관광객의 일시적 무비자와 같은 규제완화 및 제도개선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2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사드와 같은 외교 문제는 장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신속한 대처를 하지 않는다면 관광산업에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전경련은 방한 외국인의 중국인 비중이 46.8%인 것을 감안할 때, 관광객이 절반으로 감소한 메르스 사태와 같이 큰 규모의 충격이 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메르스 사태 때는 여파가 2개월여였음에도 불구하고 관광수입이 전년 동기간 대비 약 12억 달러 감소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전경련은 중국과 일본 등 일부 국가에 편중된 관광객 유치가 원인이라고 지적했다.실제 우리나라의 지난해 외국 관광객 현황을 살펴보면 중국 46.8%, 일본 13.3%, 미국 5.0%로 상위 3개국 비중이 65%를 상회하고 있다. 즉, 외국인 관광객 3명 중 2명은 중국, 일본, 미국인 중 하나인 실정이다.
이에 반해, 관광 강대국들은 다양한 국가를 고르게 유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태국은 상위 3개국 의존도가 42.2%에 불과했으며, 이탈리아나 프랑스 등의 유럽 국가들도 40% 내외로 조사됐다. 특히 이들 국가들은 최상위 국가의 관광객 비중이 20%대를 넘지 않아, 중국에 절반 가량을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와 큰 차이를 보인다.
또한 수도권·쇼핑 위주의 관광환경도 문제다. 외국인 관광객은 주로 서울 78.7%, 경기 13.3% 등 수도권을 위주로 여행할 뿐, 관광 자원이 풍부한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를 방문하는 경우는 평균 3.1%에 불과하다. 주요 활동도 쇼핑(71.5%)에 집중돼 있어, 다양한 관광 선호도를 가진 외국인을 유치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전경련은 재방문율을 높이기 위해서도 다양한 지역관광이 활성화돼야 한다고 강조하며, 독일 옥토버페스트 같은 축제관광, 뉴질랜드 바닷길 조성 등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동남아 관광객의 비자절차를 일시적으로 완화 하는 것과 같은 관광 다변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현재 관광산업의 어려움을 감안하여 한시적으로 동남아 관광객의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는 것도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추광호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관광산업은 소규모 숙박시설, 영세 관광버스, 지역 식당 등의 일자리와 생계가 밀접하게 연결된 내수 산업”이라고 강조하며 “사드로 인해 중소, 영세기업의 피해가 특히 클 것으로 우려되는 만큼 정부가 비상 컨트롤 타워를 구성해 속도감 있게 현안들을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