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THAADㆍ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로 인한 중국 정부의 한한령(중국 내 한류 금지령)이 시작된 2016년 7월 이후 급감해 국내 경제에 미치는 피해가 최대 15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이 21일 발표한 '중국 정부의 한국 여행 제한 조치가 국내 소비재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여행상품 판매금지 조치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직간접 피해 규모는 최소 5조6000억 원에서 최대 15조2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품목별로는 화장품과 의류의 피해가 가장 크며 식품, 신발, 가방 순이라고 밝혔다.
2010년 이후 연평균 38% 증가해 온 방한 중국인 관광객 규모가 중국 정부의 한한령이 시작된 2016년 7월 이후 급감하기 시작했다.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수는 2010년 100만 명에서 2016년 700만으로 최근 6년간 연평균 38% 급성장했지만 지난해 7월부터 시작된 중국의 한한령 영향으로 급감하기 시작했고, 올해 3월 중국 정부의 여행상품 판매 금지 이후 최근 한 달간 전년 동월 대비 60% 이상 쪼그라들었다.
먼저 중국인 관광객 감소에 따른 쇼핑경비 감소로 국내 소비재와 관광 산업에의 부정적 영향이 예상된다.
중국인이 방한해서 지출하는 총 여행경비는 2010~2016년 간 연평균 45.4% 급증했고, 2016년 중국인 관광객의 총 여행경비는 18조 원에 달할 정도였다.
특히 중국인 관광객이 내한해서 지출하는 쇼핑경비는 최근 6년간 연평균 56.1%로 급증해 2016년에는 12조8000억 원을 상회했다.
이는 전체 여행경비의 70.5%에 해당하는 규모로 쇼핑은 중국인 관광객이 한국을 방문하는 주요 요인이다.
한국을 여행하는 중국인이 가장 많이 쇼핑하는 품목은 향수ㆍ화장품, 의류, 신발 등 패션관련 용품과 식료품 등이다.
보고서는 중국 정부의 한한령(限韓令)이 강화된 지난해 11월 이후 대중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화장품과 관광 관련 대표기업의 주가가 대체로 하락하며 중국발 악재가 반영됐다고 분석했다.
한한령이 강화된 2016년 11월 이후 국내 화장품과 숙박업 관련 누적초과수익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하락해 국내 화장품ㆍ숙박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월 15일 중국의 한국 여행상품 판매금지 조치로 인해 방한 중국인 관광객 규모 및 국내 쇼핑 지출액은 크게 감소할 전망이다.
6가지 시나리오별 방한 중국인 관광객의 국내 총 쇼핑지출액은 2016년 대비 최소 52%에서 최대 80%까지 감소할 전망이다.
판매금지 조치가 6개월간 지속될 경우 중국인 관광객들이 국내에서 지출하는 쇼핑경비 규모는 조치가 없을 상황보다 54%에서 최대 80%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중국의 한국 여행상품 판매금지 조치에 따른 총 피해 규모는 최소 5조6000억 원에서 최대 15조2000억 원이다.
직접 피해액은 방한 중국인 관광객의 쇼핑경비 감소로 인한 유통부문의 소비재 구매 둔화와 매출 손실에 따른 피해액으로 총 피해액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간접 피해액은 쇼핑경비 감소로 유발된 관련 소비재산업의 생산 감소액을 의미하며 최대 3000억 원까지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중국 한한령을 계기로 한국 관광과 소비재 고품격화의 분수령으로 삼아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중국 이외 제3국의 방한 관광 활성화를 위한 고품격 여행 프로그램 개발ㆍ홍보 지원으로 방한시장 다변화하고, 최근 급증하고 있는 20~30대 신세대 중심의 싼커(개별관광객) 맞춤형 여행콘텐츠 개발을 통한 중국인 여행객 저변 확대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임자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의 상황을 풀어나가기 위해 한국 관광상품과 소비재의 고품격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관광, 소비재 등에서 대중의존도가 높아 사드와 같은 정치적 갈등에 의한 단기 충격이 우리 경제를 압박하는 수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를 초래하므로 중장기적 관점에서 대응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