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KIET)이 11일 발표한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민간 소비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통계청 조사 결과 향후 60세 이상 가구주의 가구 비중은 2016년 28.7%에서 2026년 40.7%, 2045년 57.8%로 향후 29년간 29.1%포인트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저출산 기조의 지속과 미혼ㆍ만혼의 증가로 29세 이하와 30~39세 가구주의 가구 비중은 2000년대 들어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감소 추세는 2045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는 고령 가구 비중의 증가로 부가가치ㆍ고용측면에서 긍정적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산업은 농림수산업, 보건ㆍ사회복지서비스업이며, 부정적 효과가 가장 큰 산업은 교육서비스업이라고 분석했다.
저출산ㆍ고령화는 민간 부문의 소비구조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가구주의 연령대에 따라 소비 지출 형태가 상이한 점을 고려할 때, 연령대별 가구주의 가구 비중 변화는 민간 소비 구조의 변화를 초래하고 이는 다시 산업연관관계를 통해 산업구조를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타 연령대에 비해 60세 이상 가구주의 소비 지출 비중이 유난히 높은 부문으로는 식료품ㆍ비주류음료, 보건 등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외에 주류ㆍ담배, 주거ㆍ수도ㆍ광열, 가정용품ㆍ가사서비스 등도 높은 비중을 보였다.
고령화의 급진전으로 60세 이상 가구주의 비중이 확대될 경우, 여타 연령대에 비해 60세 이상 가구주의 소비 지출 비중이 높은 부문에 대한 전체 소비 지출 비중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부가가치ㆍ고용측면에서는 농림수산업에 긍정적 효과가, 교육서비스업에 부정적 효과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됐다.
94개 세부 항목별 소비지출을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상의 30개 대분류로 전환한 경우 향후 민간소비가 크게 증가하는 산업은 농림수산업, 음식료품, 화학제품(의약), 금속제품, 전력ㆍ가스ㆍ증기업, 부동산ㆍ임대업, 보건ㆍ사회복지서비스업 등이다.
반면, 민간소비가 크게 감소하는 산업은 목재ㆍ종이제품ㆍ인쇄업, 운송장비(자동차), 교육서비스업 등이다.
보고서는 수요 변화에 따른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해 잠재수요 창출형 산업정책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원규 산업연구원 박사는 "저출산ㆍ고령화로 인한 수요변화에 대응해 농림수산업은 생산성 향상과 혁신을 통한 고부가가치화 노력이, 보건ㆍ사회복지서비스업은 인력부족문제의 해소가, 교육서비스업은 특히 대학의 구조조정 가속화 및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박사는 "4차 산업혁명을 우리 경제가 재도약할 수 있는 기회로 적극 활용하기 위해 저출산ㆍ고령화에 따른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해소하고 향후 수요변화에 대응하는 한편 잠재수요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대응전략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