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매년 두 차례 이상 금리를 인상할 경우, 우리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내년부터 본격화 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1일 '미국금리인상 시기의 우리나라 통화정책 점검'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지난 14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연 0.75~1.00%에서 연 1.00~1.25%로 상향 조정했다.
한경연 측은 "미국이 향후 3~4년간 최대 연 3.5%까지 기준금리를 올리는 등 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며 "이 기간 한은도 경기회복과 물가안정, 해외자본유출과 국내신용경색 우려 사이에서 균형 잡힌 금리정책을 수립해야 하는 매우 어려운 포지션에 놓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한경연은 지난 1995년부터 2016년까지 우리나라와 미국의 기준금리 변화에 한국의 실물 및 금융부문이 어떻게 반응했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미국 금리 인상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올해 말까지는 비교적 미미한 수준에 그치겠지만 2018년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추정했다.
실물부문의 경우 2017년부터 2020년 기간 중 미국의 금리가 인상되면 달러가치 상승으로 수출이 확대돼 실질경제성장률은 상승하는 반면 물가상승률은 크게 오르지 않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달리 금융부문은 올해까지 미국 금리인상이 국내금융시장에 미치는 하방 압력은 미미하고 자본유출도 크지 않지만, 2018년부터 부정적인 영향이 빠르게 커질 것으로 분석됐다.
한경연 측은 “한국은행은 2018년 이전까지 국내 기준금리를 미국의 금리인상 수준만큼 빠르게 올리고 금융부문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본격화되는 2018년부터 속도를 늦추는 방향으로 금리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