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뱃갑 흡연경고 그림을 보고 흡연자 중 절반이 금연을 결심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국가금연지원센터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담뱃갑 경고그림에 대한 대국민 인식도 조사결과를 29일 발표했다.
개발원은 지난 5월 한국갤럽조사연구소를 통해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1025명(흡연자 586명, 비흡연자 439명)과 전국 만13∼18세 청소년 514명(흡연자 48명, 비흡연자 46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했다. .
조사 결과 성인 흡연자의 절반(49.9%)이 경고그림을 보고 금연결심을 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또 비흡연 성인의 81.6%, 비흡연 청소년의 77.5%가 경고그림을 보고 나서 "앞으로도 담배를 피우지 말아야겠다"고 응답했다.
흡연의 건강 위험성을 알리는 데 기존의 경고문구(2.41점)로만 구성된 경우보다 경고그림(1차 3.94점, 2차 3.62점)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효과 중에서도 위험고지 효과(3.94)나 금연효과(3.74)에 비해 흡연시작 자체를 예방하는 효과(4.03)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성은 5점 만점을 기준으로 효과가 낮으면 1점, 높으면 5점으로 매겼다.
10종의 경고그림별로 효과를 따지면 흡연으로 인한 질병의 고통(환부)을 나타낸 주제(병변)가 아동, 임신부 등 대상별로 흡연의 폐해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주제(비병변)보다 경고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원측은 혐오 정도가 강할수록 각인효과로 경고 효과도 더 크게 나온 것으로 분석했다. 경고 효과 미흡 등으로 그림을 교체해야 할 때 교체대상 그림으로는 성인은 피부노화(46.2%), 성기능 장애(45.7%)를 우선으로 꼽았지만, 청소년은 뇌졸중(46.5%), 피부노화(44.0%)를 선정했다.
건강경고 표기면적(그림 30% + 문구 20%)에 대해서는 성인 29.9%, 청소년 38.3%가 좁다고 생각했다. 가장 효과적인 면적으로는 80%(성인 27.6%, 청소년 29.2%)를 가장 많이 꼽았다.
건강증진법에 따라 2016년 12월 23일 이후 반출되는 담배는 담뱃갑 건강경고 문구에 더해서 경고그림을 의무적으로 붙여야 하며, 법 시행령에 따라 복지부는 효과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 경고그림을 24개월마다 정기교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