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조, 6년연속 파업 결정·기아차, 통상임금 1심 선고 임박… 한국지엠 철수설 불안감 고조
국내 자동차업계가 위기에 몰렸다. 지난 상반기 글로벌 자동차 판매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노조 파업과 기아차의 통상임금 판결 등 각종 악재가 겹치면서 자동차업계가 '누란지위(累卵之危)' 상황에 놓이게 된 것이다. 업계에서는 국내 자동차 업체들의 글로벌 경쟁력 약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현대차 노조, 6년 연속 파업 결정…기아차도 8일 쟁대위 개최= 국내 자동차 업계의 맏형 현대자동차 노조가 여름 휴가가 끝나자자 마자 파업을 결정했다. 오는 10일과 14일 1조와 2조 근무자가 2시간씩, 각 4시간 부분파업하기로 한 것이다. 이로써 현대차 노조는 6년째 파업을 이어가게 됐다.
업계에서는 현대차 노조의 파업 결정에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올 상반기 내수 부진과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 배치에 따른 중국 판매 감소 등으로 현대차가 그야말로 최악 상황을 맞이했기 때문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파업이 불러올 파급 효과는 그 어느 때보다 클 것이란 지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는 8일 기아자동차 노조는 쟁의대책위원회를 개최하고 파업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지난달 17일 4시간 부분파업을 벌인 바 있는 한국GM 노조도 향후 일정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 노조가 그나마 예년에 비해 파업 강도를 낮췄으나 오는 9월 노조 새 집행부 선출이 예정돼 있어 그 이전까지 협상을 끝내기 위해 강경 행동을 보일 가능성도 있다"면서 "노조 파업은 현대차 위기 경영 상황에 돌발 위험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아차, 통상임금 판결 판결 임박…한국지엠은 또 철수설= 오는 17일 예정된 기아차의 통상임금 1심 선고도 자동차 업계에 부담을 가중 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번 1심 선고에서 회사측이 패소할 경우 당장 1조원 임금과 소멸시효 3년을 감안한 소급분까지 합쳐 최대 3조원을 노조에 지급해야 한다.
특히 판결 즉시 충당금 적립 의무가 발생해 당장 올 3분기부터 기아차 재무 상태는 물론, 경영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사측이 패소할 경우 다른 자동차 업체에서도 소송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한국지엠의 철수설이 구체화되고 있는 것도 업계에는 큰 부담이다. 최근 산업은행은 국회에 ‘한국지엠 철수 가능성’과 관련된 보고서를 제출하며 철수설을 공식화했다. 한국지엠의 2대 주주인 산은은 한국지엠의 철수설에 대해 가능성이 높다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한국지엠은 철수설에 대해 부인하며 진화에 나섰지만, 최근 판매 부진을 만회할 신차 계획도 마땅치 않아 철수설에 힘이 실리고 있다.
만약 한국지엠이 철수할 경우 국내 자동차 산업과 공장 소재 지역은 물론 국가경제에 상당한 타격을 줄 수밖에 없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