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일표 “국민혈세 3억6000만원 들인 입찰담합 시스템, 유명무실…제대로 활용해야”
2008년 공정위에서 배포한 보도참고자료에 인용된 입찰상황판 시스템 가상 사용기 중 일부다. 여기서 입찰상황판이란 공공기관이 발주하는 입찰관련 정보를 온라인으로 전송받아 입찰담합의 징후를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그런데 이렇게 가상 사용기까지 작성해 홍보에 열을 올린 제도가 정작 이용이 저조해 유명무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정위는 입찰상황판을 통해 공공기관의 입찰정보를 온라인으로 수집해 낙찰률, 입찰참가자수, 입찰참가자격제한정도 등의 지표로 평가한 점수가 ‘85점 이상’이면 입찰담합 의심 건으로 분류한 후 종합 평가를 통해 담합 여부 조사를 실시한다.
19일 이투데이가 자유한국당 홍일표 의원(국회 정무위원회)실을 통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2007년 시스템 도입 이후 지금까지 85점 이상인 입찰담합 징후 건수는 총 1만36건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공정위의 그간 조사 실적은 초라하기만 하다. 공정위가 실제로 조사를 실시한 사건은 7건에 불과하다. 이 가운데 시정조치를 완료한 사건도 단 3건에 그쳤다.
공정위는 2012년 5월 감사원으로부터 시스템 미활용에 대해 예산낭비로 지적을 받기도 했다. 당시 공정위는 감사원 지적사항에 대한 조치 결과로 ‘시스템 이용을 4개 지방사무소에도 개방하여 지역 입찰 담합 건을 지방사무소에서 조사 및 처리하도록 유도’하고, ‘시스템 이용 활성화를 위한 직원 교육’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관련 현황을 살펴보면, 여전히 시스템 활용이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올해 같은 경우 접속 권한을 부여받은 직원 59명(본부 41명·지방18명)이 시스템에 접속한 횟수는 243회로 직원 1인당 시스템 접속 횟수가 연평균 4회에 그쳤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5년(10월~12월) 100회 △2016년 210회 △2017년(1월~9월) 243회가 전부다.
홍 의원은 “예산 3억6000만 원을 투입한 입찰상황판 제도는 유지보수비용으로 연간 2100만원씩 소요되고 있다”면서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제대로 활용조차 하지 않고 있어 예산만 축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정위는 입찰상황판을 조사 업무에 적극 활용해 입찰담합 감시를 효율화하고 적발 확률을 제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