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내 아파트 매매 거래가가 1년 만에 억대 수준으로 올랐다.
이달에 분당구 금곡동에 위치한 청솔마을 한라아파트 전용면적 58.8㎡(13층) 매물이 5억7000만 원에 거래됐다. 이는 작년 2월에 같은 규모의 14층짜리 매물이 4억4000만 원에 계약된 것과 비교하면 1억 원 이상 오른 것이다.
같은 금곡동의 까치마을 롯데선경아파트 전용면적 84㎡ 거래가도 작년 5월 6억5000만 원(3층)에서 8개월 만에 7억 원(4층)으로 뛰었다.
삼평동, 판교동 내 아파트 거래가도 큰 폭으로 올랐다. 삼평동 봇들마을1단지의 판교신미주아파트 83㎡(2층) 매물이 작년 4월 6억6300만 원에서 8억1000만 원으로 상승했다.
판교동의 판교원마을9단지 한림풀에버아파트 84㎡ 매물 거래도 작년 2월 7억7000만 원(11층)에서 이달에 9억 원(17층)으로 올랐다.
‘준강남’에 속하는 분당구의 아파트 가격이 두드러진 것은 강남 집값 상승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다만 호가가 갈수록 높아져 실제로 성사되는 거래는 많지 않다는 얘기가 나온다.
삼평동 공인중개사 A씨는 “강남 집값 상승이 분당 집값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며 “수정구, 중원구 등 구시가지보다 택지개발 지역인 분당구 집값이 더 높다”고 설명했다.
판교동 공인중개사 B씨 역시 “강남과 비교했을 때 많이 오른 것은 아니지만 (집값이) 오르긴 했다”며 “집값이 오르다 보니깐 집주인이 물건을 거두거나 호가를 올려 막상 거래는 활발하지 않다”고 전했다.
아파트값이 치솟은 분당이 속해 있는 성남 역시 8·2부동산 대책 이후 오히려 상승폭을 키웠다. 한국감정원 통계에서 지난해 7월 31일부터 올해 1월 8일까지 아파트값 변화를 살펴보면 성남은 3.7%가량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책 이전 같은 기간 2.9% 오른 것과 비교해 0.8% 포인트 가량 상승폭을 키운 것이다.
경기도는 전체적으로 대책 이후 상승폭이 줄었다. 대책 이전까지 1% 상승을 기록했으나 대책이 나온 후부터 0.6% 상승에 그쳤다. 대책 이전 높은 상승률 보이던 준강남권 과천, 광명 역시 상승폭이 축소됐다. 대책 전까지 1.2% 오르던 과천은 대책 이후 0.7% 오르는 데 그쳤고 광명 역시 2.7% 오르다가 1%로 가라앉았다.
반면 대책 이후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한 지역은 안양이다. 안양은 대책 이후 2.2% 오르며 대책 이전보다 0.9%포인트 상승폭을 확대했다. 이처럼 대책 이후에 오히려 눈에 띄는 상승폭 확대(0.5%포인트 이상)를 기록한 지역은 의왕, 김포, 부천이 더 있다.
이들 지역 모두 서울 강남권과 인접한 위치인데도 저평가됐다는 평가를 받아온 곳들이다. 게다가 투기과열지구인 과천, 청약조정대상지역인 광명과 달리 규제에서 자유로운 점도 아파트값 상승의 요인으로 풀이된다.
또한 이들 지역에 속한 신도시들의 활약과 새로운 교통 호재 등이 아파트값 상승을 도왔다는 분석이다. 양지영 R&C 연구소장은 “안양의 평촌, 부천의 중동 등 1기 신도시들은 최근 리모델링이나 재건축 방향을 모색 중이어서 기대감이 모이고 있다”며 “GTX 노선이 부천을 지나고 김포에는 김포도시철도가 들어설 예정이라 이런 교통 호재가 아파트값에 반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지희 기자 jhsseo@etoday.co.kr
이신철 기자 camus16@e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