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타계한 구본무 LG그룹 회장의 장례는 ‘비공개 가족장’으로 치러진다. 생전 구 회장이 복잡한 격식을 멀리하고 소탈한 삶을 일관되게 추구했던 만큼 유족들이 고인의 유지를 따르기로 하면서다.
LG 창업주인 고(故) 구인회 회장, 고인의 아버지인 구자경(93) 명예회장의 뒤를 이은 3세 경영자로 LG그룹을 23년간 이끌어온 만큼 재계에선 회사장을 예상했었다. 그러나 구 회장이 살아온 궤적에 따라 유족들은 가족장으로 결정했다. LG그룹 측은 “장례는 조용하고 간소하게 치르기를 원했던 고인의 유지와 유족들의 뜻에 따른 것”이라며 “가족 외의 조문과 조화는 정중히 사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웃집 아저씨 같은 소탈한 삶을 살았던 고인은 마지막 잠드는 순간에도 그 면모를 이어간 것이다.
◇ 재벌가 아닌 듯… 소탈했던 구본무 회장= 구 회장은 재벌 총수 같지 않게 매우 소탈하고 검소한 면모를 지녀 구 회장을 처음 만난 사람은 대부분 놀라기도 했다. 일례로 구 회장이 부장 시절 해외출장을 함께 간 기업인사가 나중에 귀국해서야 동행한 구 회장이 그룹 회장의 맏아들임을 알고 놀랐다는 사실이 전해질 정도였다. 주요 행사에 참석하거나 해외 출장 시에도 비서 한 명 정도만 수행토록 했고, 주말에 지인 경조사에 갈 때는 홀로 가기도 있다.
수수한 옷차림에 ’이웃집 아저씨‘ 같다는 이야기도 많이 들었다. 직원들과도 소탈하게 어울리는 회장으로 재계에 화제가 되기도 했다. 회장 취임 초 그룹 임직원들을 시상하는 행사에 직원들과 똑같은 행사로고가 새겨진 티셔츠 차림으로 테이블을 일일이 돌며 임직원을 격려하기도 했다. 인재 유치 행사에서는 300여 명에 달하는 참가 학생들과 일일이 악수를 하고 학생들의 요청에 흔쾌히 셀카 사진도 함께 찍으며 격의 없이 어울리기도 했다. 또 행사장에서 만난 학생들이나 직원들에게 격의 없이 다가가 맛있는 음식을 먹어보라고 먼저 권하기도 하는 등 자상하고 마음씨 따뜻한 회장이었다.
틈틈이 경영진에게도 ’자만을 경계하는 마음 가짐‘을 가질 것을 당부하면서 리더로서의 배려와 소통을 강조해왔다.해외 사업장을 찾을 때면 현지 임직원들에게 “제가 이곳에서 환영받고, 또 LG가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는 것은 제가 잘나서가 아니라 여러분들이 멀리 타국에서 고생하고 노력해준 덕분”이라고 말하곤 했다.
뒤이어 최병민 깨끗한 나라 회장,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구자원 LIG 그룹회장, 구자용 LS네트웍스 회장, 구자극 엑사이엔씨 회장, 구본완 LB휴넷 대표, 구본천 LB인베스트먼트 사장, 허승표 피플웍스 회장, 허광수 삼양인터내셔날 회장, 김윤 삼양홀딩스 회장 등이 조문을 위해 빈소를 방문했다.
이후에도 구자두 LB인베스트먼트 회장, 구자학 아워홈 회장, 구본걸 LF 회장, 구자철 예스코홀딩스 회장, 변규칠 전 LG상사 회장, 김윤 삼양홀딩스 회장, 구자열 LS그룹 회장, 구자홍 LS니꼬동제련 회장, 구본혁 LS니꼬동제련 부사장, 허동수 GS칼텍스 회장, 허세홍 GS글로벌 사장 등 범 LG가 관계자들이 빈소를 찾았다.
정치권과 법조계, 언론계, 경제계에서도 그의 애도 물결은 이어졌다.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은 밤 8시25분께 빈소를 방문해 조문했다. 그는 “문재인 대통령께서 재계의 큰 별이 졌다고 안타까워하셨다”며 “다른 어떤 그룹보다 먼저 지배구조 체제를 2003년에 지주사 체제로 정리하면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셨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를 비롯해 하태경 바른미래당 최고 위원 등도 구 회장의 빈소를 찾아 유가족을 위로했다.
법조계에서는 양승태 전 대법원장이 빈소를 방문했으며, 언론계에서는 홍석현 중앙홀딩스 회장, 방상훈 조선일보 사장 등이 빈소를 찾았다. 경제계에서는 구 회장과 생전 두터운 친분을 가진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가 빈소를 찾아 고인을 애도했다. 방상훈 사장과 이헌재 전 총리는 LG상록재단의 이사들로, 이사장을 맡았던 구 회장과 인연이 깊다.
◇ 경제단체도 큰 슬픔=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전날 논평을 통해 “대한민국 경제의 큰 별인 구 회장이 별세하신 데 대해 경제계는 깊은 애도의 뜻을 표한다”고 밝혔다. 전경련은 “구 회장이 계셔서 우리 경제가 지금의 번영과 영광을 누릴 수 있었고 기업과 국민이 함께 미래의 꿈을 꿀 수 있었다”라며 “우리 경제가 재도약 해야 할 중대한 시기에 훌륭한 기업인을 잃은 것은 나라의 큰 아픔과 손실이 아닐 수 없다”고 전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도 “구 회장의 별세에 깊은 애도를 표한다”고 밝혔다. 경총은 고인에 대해 “1995년 LG그룹 회장 취임 이후 ‘노사’(勞使)를 넘어선 ‘노경’(勞經)이라는 새로운 노사문화 형성을 바탕으로 ‘정도경영’을 추구했다”며 “당면 현안을 노경이 함께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내는 가치창조의 노사관계를 구현하는데 지대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무역협회 역시 구 회장의 별세와 관련해 “구 회장은 LG그룹을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키는데 확고한 발판을 마련했다”며 “우리나라가 무역 1조 달러, 무역 9강의 위업을 달성하는데 크게 기여했다”고 말했다. 중기중앙회는 “대한민국 전자업계에 큰 업적을 남기고 아울러 중소기업인들로부터 존경을 받아왔다”고 애도했다.
AFP통신은 구 회장이 조부가 1947년에 창업한 업체를 ‘기업제국’으로 확장한 업적이 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구 회장이 LG그룹을 아들인 구광모(40) LG전자 상무에게 넘기라고 당부했다는 내용도 소개했다. 구 상무는 구 회장 동생의 장남이었으나 1990년대 구 회장이 친아들을 교통사고로 잃은 뒤 입양했다는 이야기도 덧붙였다. 로이터 통신은 구 회장이 한국에서 네 번째로 큰 LG그룹을 글로벌 브랜드로 변화시키는 데 핵심적 역할을 했다고 소개했다. LG그룹이 구 회장의 별세 전에 소유구조를 간소화하고 승계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주회사 체계를 수립했다는 내용에 비중을 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