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 VR에 사용되는 HMD(머리 착용 디스플레이)는 몰입도가 높지만 시간지연과 잔영으로 인해 어지러움증과 멀미 현상을 느낄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가상현실 컨텐츠들을 생성하기 위한 보다 많은 연산이 필요하여 이러한 문제점이 더 커진다.
이 기술의 핵심은 저해상도 영상을 초고해상도 영상으로 실시간 생성할 수 있는 알고리즘 개발에 있다. 딥러닝 기술을 통해 외부가 아닌 내부 메모리 사용만으로도 구현이 가능하게 했다.
그 결과 전력 효율성을 높이고 알고리즘을 최적화해 모바일 제품에서의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됐다. 또 VR용 디스플레이 구현시 시스템 부하를 줄여 시간지연과 잔영 시간을 최대 5배 이상 줄일 수 있게 됐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LG디스플레이와 2015년부터 이번 연구를 맡아 진행한 서강대 전자공학과 강석주 교수는 “이번 LG디스플레이와 서강대의 연구결과는 가상현실 기기에서 고비용의 그래픽 처리장치(GPU) 없이 인공지능을 통해 구현된 저전력으로 가속하는 반도체를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라고 말했다.
LG디스플레이 OLED알고리즘팀 오의열 연구위원은 “이번 서강대팀과의 연구는 움직임과 자세를 감지하여 빠르게 화면에 반영함으로써 보다 생생하고 자유로운 시각적 경험을 가능하게 했다"며 "특히 동작과 화면 구현 사이의 시차를 줄이고 잔영을 감소시킴으로써 어지러움과 멀미 등 VR의 단점을 줄여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높였다”고 밝혔다.
한편 시장조사기관 IDC는 VR시장이 2016년 1000만 대 수준에서 2021년 9900만 대로 약 10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