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담장 주변, 특별행사구역으로 지정…북한 대표단 체류비는 아직 미해결
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2일 정상회담이 열릴 센토사섬 카펠라호텔의 경계 태세가 강화되고 있으며 민간에서도 회담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다고 소개했다.
싱가포르 정부는 10일부터 14일까지 센토사섬 전역과 센토사섬과 본토를 잇는 다리, 주변 구역을 특별행사구역으로 지정했다. 카펠라호텔과 함께 샹그릴라호텔도 특별구역에 포함된다. 무인 항공기 비행이 금지되며 해상 교통이 통제되는 등 경계수위가 높아진다.
싱가포르는 그동안 2009년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정상회의와 2015년 중국과 대만 정상회담 등 다양한 국제 행사와 회담을 개최해왔다. 그러나 주목도 면에서 이번 북미회담을 능가할만한 행사는 없었다. 싱가포르 정부에 따르면 정상회담 취재를 위해 지금까지 2500여 명의 기자가 등록했다.
WSJ는 싱가포르가 갑작스러운 요청에도 역사적인 회담을 개최할 여건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고 전했다. 싱가포르는 도시 전체에 경찰의 감시카메라가 설치돼 있어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도시로 꼽힌다. 현지 법에 따르면 1인 시위도 불법 집회로 간주할 수 있다. 싱가포르는 국제 문제에서 중립을 지키는 자세로도 잘 알려져 있다. 2008년에도 북한 핵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북미 대표가 싱가포르에서 회담했다.
제스퍼 김 이화여자대학교 갈등관리센터 이사는 “싱가포르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 두 사람에게 제1후보지는 아니었을 것”이라면서 “하지만 외교 관계뿐만 아니라 보안 우려에 대한 대응책에 싱가포르가 존재감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북미가 수용할 수 있는 제2후보지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민간 기업들도 북미정상회담을 사업 기회로 삼고 있다. 정상회담과 관련한 프로모션을 시행하며 분위기를 띄우고 있다. 싱가포르는 기념주화를 발행한다.
문제는 북한의 싱가포르 체류 비용을 누가 부담할 것인가이다. 미 국무부 대변인은 북한 방문단의 비용을 미국이 지불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지난해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비정부기구(NGO) 핵무기폐지국제운동(ICAN)은 북한의 비용을 부담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으나 당국이 제안을 받아들이지는 않은 상태다. WSJ는 3월 중국을 찾은 것이 해외 방문 경험의 전부인 김 위원장의 이동 문제도 걸림돌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