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경제 점검후 향후 통방 판단..취업자 전망 하향 불가피..의사록·총재발언 엇박자 아냐
“물가는 중기적 관점에서 한은 목표수준에 도달할 것이다. 올 4분기(10~12월) 가면 물가오름세는 분명 높아질 것이다.”
그는 앞서 “가계부채는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 소득증가 추세 정도로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며 “(향후 통화정책과 관련해) 금융불균형도 봐야겠지만 성장과 물가에 초점을 둘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불확실성이 높고 지켜볼게 많다. 7월에 다시 한 번 국내외 경제상황을 점검하고 앞으로의 정책방향을 판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고용부진과 신흥국 금융불안 지속, 글로벌 교역 환경 악화 등 어려움이 많다”면서도 “산업활동동향 등 최근 실물지표나 데이터를 분석해 보면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는 지속할 것이다. 물가 경로도 4월 전망 경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은은 지난 4월 전망에서 올 경제성장률(GDP) 전망치를 3.0%로 유지한 반면, 소비자물가 전망치는 1.6%로 직전 전망대비 0.1%포인트 낮춰 잡은 바 있다. 결국 이를 종합하면 한은 통화정책결정에서 가장 큰 발목을 잡는 물가 오름세는 4분기에 해소될 수 있음을 시사한 셈이다.
미국 연준(Fed)은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인상을 단행했고 향후 인상 속도를 가속화할 것임을 밝힌 바 있다. 이후 신흥국 통화가치와 주가가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우리경제에도 우려감이 확산하고 있는 중이다.
이와 관련해 이 총재는 “미 금리인상 속도가 가속화할 경우 한미 금리차도 자본유출 우려에 대한 하나의 요인이다. (미국이 네 번 올리고 한은이 유지할 경우) 100bp(1bp=0.01%포인트) 차이가 나지만 단언적으로 이야기할 수 없다. 우려는 충분히 숙지하고 있다”면서도 “우리 경제는 경상수지가 흑자를 기록하고 있고 대외건전성이 양호하다. 대규모 자금유출 가능성은 낮다. 무디스도 최근 우리나라 신용등급을 유지한 근거 중 하나로 대외충격에 대한 높은 복원력을 꼽았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신흥국 불안이 확산된다면 리스크 민감도가 커지며 자본 유출입과 변동성이 높아질 수 있어 유의할 필요는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고용부진이 이어지면서 한은 고용전망치를 낮춰 잡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 총재는 “5월 취업자수 증가폭이 10만명이 안된다. 원인은 자동차와 서비스 업황 부진, 일부 제조업 구조조정 영향이 당초 예상보다 커 보인다”며 “4월 한은 전망치를 밑돌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10만명대로 떨어질지는 7월 전망에서 밝힐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통계청은 5월 취업자 증가폭이 7만2000명에 그쳐 2010년 1월 1만명 감소 이후 8년4개월만에 가장 낮았다고 밝힌 바 있다. 한은도 4월 전망에서 올해 연간 취업자수를 26만명으로 잡았었다.
최근 매파적(통화긴축) 성향이 강화한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과 비둘기파적(통화완화적) 이 총재 언급간 엇박자가 나고 있다는 비판에 그렇지 않다고 반박했다. 이 총재는 “전체 결정은 만장일치였다. 특정 사안에 대해 뷰(의견)가 다를 수 있지만 일부 위원의 특정 이슈에 대한 발언을 두고 커뮤니케이션에 엇박자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개별 이슈에 대해 견해가 다를 수 있다. 우려할 사안은 아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