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림그룹의 대북 축산 사료 사업이 꽃 피울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하림그룹은 10여년전부터 대북 축산 사료 사업을 진행해왔으나 당시 북핵 문제로 모두 중단된 상태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 문재인 정부 들어서면서부터 대북 사업 추진 의지를 다시 내비췄다. 특히 최근 남북교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하림 그룹의 대북 사업들이 재추진 될지 시장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하림 그룹은 과거 대북 사업 실제로 진행했다. 10년 전 하림그룹은 북한에 축산업을 들고 가서 우리 정부와 연계해 일부 활동을 펼친 바 있다. 2006년 하림그룹은 북한 민족경제협력연합회와 평양 인근지역에 양돈시설 건립 합의서를 체결하고, 전라북도와 함께 돼지 700만마리(50만톤)를 키울 수 있는 시설을 구상한 바 있다.
당시 하림그룹은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자 북한 농장에서 나온 분뇨를 이용해 현지에서 직접 비료를 생산하고, 이를 토지 복원에 활용하는 방안까지 계획했다.
하림 그룹 관계자는 “축산 사료 등을 가지고 가서 대북 지원 활동의 일환으로 한 번 세레모니 형태로 진행한 부분”이라며 “이 부분에서 대북 사업에 대한 연계점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시장에서는 하림 그룹에 대한 대북 축산 산업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실제로 북한에서는 비료, 수산업, 축산 등 1차 산업 부분에 대한 지원이 무엇보다 필요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실무적인 접촉 역시 이들 산업군에서 우선되고 있는 상황이다.
김홍국 회장 역시 대북 사업에 대한 의지가 확고하다. 김 회장은 지난해 계열사인 제일홀딩스 기업공개(IPO)를 진행하면서 대북 사업에 대한 의지를 직접 드러내기도 했다.
당시 김 회장은 "축산 자체의 의미도 있지만, 생산력이 떨어져 있는 북한 땅의 지력을 복원시키는 데 가축 분뇨가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하림 그룹 관계자는 “만약 어느 정도 산업적으로 들어갈 수 있는 배경이 생기면 TF 구성해서 가면 된다”며 “각 계열사의 축산 베이스 및 인력 구성 등이 프로그램화 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양돈 비즈니스의 경우 팜스코와 선진이 만든 모델은 몇 십년에 걸쳐 만들어진 모델이기 때문에, 사업이 시작되면 사료공장을 먼저 만들어 사료 비즈니스가 먼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 그는 “양돈뿐만 아니라 빨리 키울 수 있는 양계 사업 등이 훨씬 유리할 수 있다”며 “사료, 양계, 양돈 등 복합형태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사업을 진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