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구개발비 회계처리에 관한 감독기준을 구체적으로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의 연구개발비 회계처리가 글로벌 기업과 차이가 있다는 지적에 따른 조치다.
금융위원회는 30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제약·바이오 업계 회계처리 투명성 관련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과 원승연 금융감독원 부원장, 산업통상자원부 시스템산업정책관, 제약·바이오 업체 및 협회, 회계법인, 회계기준원, 거래소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김 부위원장은 “현행 회계기준의 합리적인 해석범위 내에서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구개발비 회계처리에 관한 감독기준을 구체적으로 마련하겠다”며 “장기간에 걸쳐 대규모 투자자금이 필요한 산업 특성 등을 고려해 연구개발비를 어느 시점에 자산으로 인식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감독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기업의 회계처리와 외부감사업무의 불확실성이 완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제약ㆍ바이오 분야와 같이 산업 특성에 대한 특별한 고려가 필요한 부문부터 ‘대화와 지도‘ 방식의 감독을 강화해 나가겠다”면서 “신약 개발 등 국내에서 회계기준 적용 경험이 충분히 축적되지 않은 분야는 기업 스스로 회계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방안을 강구할 계획으로, 구체적인 방안은 감리선진화 태스크포스(TF) 논의 결과와 함께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 “연구개발비를 보수적으로 회계 처리할 경우 재무상태 악화에 따른 상장 퇴출 등을 우려하는 기업들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상장관련 제도의 개선 필요성에 대해서는 거래소와 함께 검토해 보겠다”고 덧붙였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화이자(pfizer)의 R&D 지출규모는 약 8조6000억 원 규모인 반면, 셀트리온은 약 2000억 원 수준에 그쳤다. 전날 기준 코스닥 시장 시가총액 상위 20개사 중 8개사는 바이오 기업이다.
김 부위원장은 “제약‧바이오 산업은 글로벌 시장규모가 2010~2016년 연평균 약 5.2% 성장해온 유망산업으로서 산업의 핵심 경쟁요소가 연구개발”이라며 “국내 업계의 경우 글로벌 기업에 비해 연구개발(R&D) 지출규모가 크게 낮은 수준으로 앞으로도 많은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러한 배경에서 금감원은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구개발비 회계처리에 대해 감리를 실시하고 있다”며 “주요 이슈는 약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연구개발비용을 재무제표상 비용으로 인식하지 않고 무형자산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시점에 대한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코스닥 시장에서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투자자 보호 필요성이 클 뿐만 아니라, 일부 기업의 회계처리에 대한 문제 제기가 업계 전반의 신뢰 문제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면서 “금융위와 금감원은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 제약‧바이오 기업의 회계처리에 대한 감독업무를 수행해나가고자 한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