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광고비로 200만 원 이상을 쓰는 업주는 전체 광고주의 1.4%에 불과해”
배달의민족이 자영업자가 배민을 통해 올리는 매출액 대비 광고비의 비중은 3~4%에 불과하며 ‘광고비 과다’ 논란을 일축했다.
4일 배달의민족은 유료 광고주 전원을 대상으로 지난 1년 사이 업소 평균 매출액과 광고비 등 주요 수치의 변화 추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일각에서 반복적으로 제기해 온 ‘배달앱 수수료-광고비 부담’ 관련 논란을 반박하기 위해서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배달의민족 유료 광고주는 총 6만8000여 명으로, 1인당 월평균 23만원 정도의 광고비를 들여 배민을 통해서만 약 643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1년 전에 비해 매출은 162만 원 가량 증가한 반면 ‘매출액 대비 광고비’ 비중은 3.81%에서 3.61%로 오히려 줄었다.
배달의민족 관계자는 “외부 결제 수수료를 제외하면 현재 순수 배달의민족 광고비는 배민이 음식점 매출에 이바지한 금액의 3%대에 지나지 않는다”며 “이는 전단지는 물론, 10~30%대의 수수료를 받는 국내외 어떤 다른 경쟁 배달앱과 비교해도 현저히 낮다”고설명했다.
이어 “배달의민족은 중간 유통 과정을 늘린 것이 아니라 기존의 비효율적 광고 매체를 대체해 소상공인에게 더 저렴하고 효율적인 광고 수단으로 자리매김 해 온 것”이라고 덧붙였다.
입찰 방식의 광고상품 ‘슈퍼리스트’의 경우 광고주의 약 10%가 이용하고 있었다. 입찰 광고는 이미 구글, 텐센트 등 국내외 유수 IT 기업이 채택하고 있는 방식이다. 배달의민족은 “소수의 여력 있는 업소 업주가 비용을 조금 더 들여서라도 단기간에 광고 효과를 증폭시킬 목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영세 자영업자’로 일반화하는 것은 무리”라고 지적했다.
배달의민족은 일각에서 지적하듯 월 광고비로 200만 원 이상을 쓰는 업주는 전체 광고주의 1.4%에 불과한데도 이를 마치 수십만 음식업 자영업자 모두에 해당하는 것처럼 말하는 것은 ‘침소봉대’라고 반박했다.
배달의민족 관계자는 “과도한 경쟁을 막기 위해 차상위 낙찰 방식을 적용했으며, 지속해서 경고 문구를 노출, 안내하는 등 예방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월정액 일반 광고 이용 업소의 매출 효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등 보호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극소수 ‘기업형 업소’가 몇 백만 원의 광고비를 쓰는 경우도 있지만 이들은 ‘영세 자영업자’와는 거리가 멀다”며 “전체 평균 광고비가 매출의 3~4%라는 점은 오히려 대다수 업주의 경우 상대적으로 더 낮은 수준의 광고비로 배민을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한편 배달의민족은 최근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에서 배달앱을 비판하고 나선 것과 관련해, 일부 대형 프랜차이즈가 횡령・배임, 욕설, 가맹점에 대한 불공정행위 등 오랜 갑질 관행에 더해 배달비 추가 등으로 비난을 받자 이를 다른 데로 돌리려는 의도가 깔린 게 아닌지 의문을 제기했다.
지난 1일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에 참가한 이성훈 세종대 교수는 자영업자가 힘든 근본 원인으로 ‘공급 과잉’, 즉 전체 인구 대비 자영업자가 너무 많은 것이 근원적인 문제라는 점을 지적했다.
배달의민족은 “프랜차이즈산업협회가 주관한 이 날 ‘배달앱 문제 개선 정책토론회’는 배달 앱 운영사는 배제한 채 대형 프랜차이즈 본사와 일부 가맹점주의 입장을 마치 자영업자 전체의 의견인 것처럼 일반화해 일방적으로 주장했다”고 비판했다.
배달의민족 관계자는 “대안 모색을 위한 외부 논의에도 동참할 준비가 되어 있다”면서 “하지만 정작 중요한 문제는 두고 배달 앱을 비판하는 것으로 자영업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