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속적인 부동산 대책 발표로 주택 투기 수요를 억제함에 따라 경매시장에서 상가 시장으로의 자금 흐름이 몰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상가정보연구소가 대법원경매정보의 매각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상가의 평균 매각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70.8%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의 52.7%에 비하면 18.1%P 상승한 수준이다.
해마다 상가의 평균 낙찰가율은 대체로 50%대에 머물렀다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는 이례적으로 높은 매각가율을 기록했다.
반면 아파트의 매각가율은 지난해 91.4%까지 기록했으나 올해는 87.5%로 나타나 상가시장과 상반되는 소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경매 진행건수 대비 매각건수 비율인 매각률도 비슷한 상황이다. 상가는 9월까지 783건의 경매물건 중 204건이 매각돼 26%의 매각률을 기록했다. 지난 2014년 15.5%, 2015년 21.6%, 2016년 24.4%, 2017년 20.6%과 비교하면 높은 수준이다.
아파트는 올해 1만6139건 중 6192건이 매각돼 38.4%의 매각률을 기록했는데, 이는 근 5년간 처음으로 30%대로 낮아진 수치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다주택자를 중심으로 세제 및 대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상가 시장으로 눈길을 돌리는 투자자들이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상혁 상가정보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최근 9.13 대책으로 다주택자 규제가 대폭 강화됨에 따라 투자수요가 상가로 쏠리는 풍선효과가 더욱 뚜렷해질 가능성이 크다”며 “하지만 상가시장도 자영업 경기 불황과 공급 과잉 등 여파로 공실 위험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입찰 전 신중한 조사와 판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