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연동되는 협력업체 비율 높은 탓 대기업은 ‘반도체 효과’로 주력산업 부진 상쇄
5일 통계청에 따르면 9월 중소기업 제조업 생산지수는 97.0(2015년=100)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9% 감소했다. 중소기업 제조업 생산은 올해 2월부터 8개월째 감소세다. 이에 따라 1월부터 9월까지 중소기업 제조업 생산(누계)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3% 줄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막바지던 2009년(-8.8%) 이후 최대 낙폭이다.
주로 자동차부품업, 기타금속가공업, 플라스틱제조업 등에서 감소 폭이 컸다. 주력산업인 조선업과 자동차업 불황이 직접적인 원인이다. 이들 산업에는 전속계약 형태로 특정 기업에만 부품을 납품하거나, 대기업 생산시설 내에서 일부 공정만 맡는 하청·협력업체 비율이 높다. 따라서 원청 대기업의 불황은 관련 중소기업 불황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반면 대기업 제조업 생산은 1~9월 누계로 전년 동기 대비 0.4% 감소에 그쳤다.
반도체 호황 효과다. 통계청 관계자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생산이 함께 움직이는 산업이 있고 대기업만 따로 움직이는 산업이 있다”며 “반도체 쪽이 후자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반적으로 제조업 경기가 안 좋은 상황에서 그나마 대기업은 반도체라는 상쇄 요인이 있지만, 중소기업은 대부분 하청·협력업체라 부진을 상쇄할 만한 마땅한 수단이 없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제조업의 부상과 국내 생산시설 해외 이전 등으로 봉제·의류업 생산도 최근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부진은 제조업에 그치지 않는다. 중소기업 서비스업 생산은 1~9월 누계로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에 그쳤다. 같은 기간 대기업 서비스업 생산은 2.3% 늘었다.
중소기업 서비스업 부진은 식당·주점을 비롯한 숙박·음식점업 불황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제조업 불황에 따른 임금근로자 가구의 가처분소득 감소에 중국인 관광객 감소 등에 따른 외국인 국내소비 위축이 겹친 결과로 풀이된다.
한편 제조업 통계상 중소기업은 계열사를 포함해 종사자가 300명 미만인 기업을 뜻한다. 서비스업 통계상 중소기업은 중소기업법에 따라 업종별로 매출액이 일정 금액 이하인 기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