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주 경제활력회의 열고 수요일엔 기업인 만나겠다”
홍 후보자는 “최근 경기지표가 부진하면서 민생경제가 어렵다”며 “당면한 현안으로 경제 어려움과 민생경제를 회복하는 데 전력투구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6개월~1년 정도 기존 경제관계장관회의를 경제활력회의로 이름을 바꾸겠다고 했다. 그는 “단기적인 대책도 필요하지만 지금 구조적 전환기적 시점인 만큼 우리 경제 체질 개선과 구조개혁에 전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강조한 것이 함께 잘 사는 포용 국가였다. 홍 후보자는 “혁신성장과 소득주도성장이 경제성장을 뒷받침해 함께 잘 사는 포용 국가가 되도록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제는 경제부총리가 컨트롤타워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전임 김동연 부총리와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이 갈등을 빚은 전철을 밟지 않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그는 “김수현 정책실장과 개인적으로 잘 안다”며 “의견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그런 차이를 내부적으로 소통과 격의 없는 비공식 난상토론을 활성화해 내부적으로 치밀하게 소통하겠다”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조율된 내용이 한목소리로 밖으로 나갈 수 있도록 책임지겠다고 했다.
홍 후보자는 또 시장을 잘 모른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 “제가 전공이 경제학이고 경제 분야에서 30년 근무해서 시장이 어떤 힘을 가졌는지 안다”며 “우리 경제 활력을 되찾기 위해서 민간 기업과 소통하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간이 허용하면 매주, 안 되면 격주라도 수요일은 무조건 소상공인,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경제 관련 협회, 단체까지 오찬 미팅을 해서 귀담아 듣고 정책으로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최근 경제 상황에 대해서는 “지금 경기 상황을 경기침체다, 경기 위기라는데 동의하지 않는다”고 했다. 다만 재정확대를 주문하는 여당과 다소 인식의 차이도 드러냈다. 그는 “재정 역할을 강화해야겠지만 재원이 한계가 있다. 재정적으로 국가채무도 제약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공유공제 등 신산업 분야의 규제 개혁도 강조했다. 그는 “연말까지 관계부처가 기존 주력산업에 대해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만들어 발표할 것”이라며 “서비스산업에서 부가가치와 일자리를 만드는 법도 찾아보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사회적으로 파급력이 큰 눈앞의 빅이슈는 공유경제”라며 “선진국에서 보편적으로 이뤄지는 서비스라면 대한민국에서 못할 게 없다. 전 세계적 테스트베드가 한국인데 신산업분야에서도 조금 과감하게 전진적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