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 유혹하는 가짜 뉴스

입력 2018-11-28 06:00수정 2018-11-29 19:5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kbsㆍmbc, 이중 행위 부동산 전문가 고발

『최영진 대기자의 현안진단』

부동산 관련 정보를 얻으려는 수요자들은 참 곤혹스럽다. 같은 사안을 놓고 전문가들마다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 어떤 것이 정확한지 판단하기 어렵다.

언론 보도 중에서도 가짜 뉴스가 적지 않아 진짜 보석을 가려내기가 정말 힘들다. 자주 이용하던 카페나 블로그의 정보 또한 정답이 아니다. 부동산 투자 설명회 인기 강사 얘기도

다를 게 없다. 자기가 점찍어놓은 지역을 띄우기 일쑤다. 값 올리기 전략이다.

다들 각자 처해있는 이해관계를 감안해 정보를 분석하고 가공한다.

이를테면 중개업 종사자는 거래가 잘 되는 것처럼 위장하고 분양업자는 근거를 가공해 자기 상품이 투자가치가 높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객관적일 듯싶은 전문가들은 진단의 깊이가 얕다. 하나 마나 한 해석이 대부분이고 근거도 명확하지 않다. 이들도 자기 입맛에 맞은 통계 자료를 만들어 낸다.

이렇게 되면 정보를 잘 못 해석해 낭패 보기 딱 알맞다. TV에 출연하는 전문가 말을 믿고 투자했다가 이득은커녕 손해를 보는 일이 적지 않다. 실례로 한 경제 전문 TV 부동산 프로그램이 투자 상품으로 강력 추천한 빌라는 값이 줄줄이 떨어지고 있다. 수익률이 높다던 분양형 호텔은 수많은 투자자들을 울렸다. 임대 수익은 고사하고 오히려 건물 관리비를 물어야 하는 처지다.

수익형 오피스텔도 예외는 아니다. 곳곳에 공급이 넘쳐나 장담하던 임대 수익이 곤두박질치는 형국이다. 정보를 왜곡해서 벌어진 현상들이다.

그런데도 투자 대박을 확신하는 분양 정보가 봇물을 이룬다.

이런 가운데 KBS· MBC가 부동산 전문가들의 이탈행위를 잇따라 보도하고 있다.

이들 전문가는 일반인들로부터 신뢰를 받는 각종 언론 매체의 코멘트 단골 손님들이다. 부동산업 종사자에서부터 은행의 VIP 고객 부동산을 상담해주는 사람, 건설· 부동산 분야 애널리스트, 부동산 관련 카페 운영자, 대학교수 등 다양하다.

KBS는 지난 4일 '저널리즘 토크쇼 J' 코너에서 코멘트 전문가의 실명까지 들어가면서 그들의 이중적인 행동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이들은 신문이나 TV 뉴스 코멘트에서 말한 것과 투자 설명회 등에서 언급한 내용이 서로 달라 수요자들이 혼란스러워한다는 것이다.

이들이 어떻게 언론 코멘트 단골이 됐는지도 언급했다. 지식이 깊어서가 아니라 기자나 PD들이 코멘트를 손쉽게 딸 수 있는 소위 인터뷰에 잘 응해주는 사람을 선호해서 그렇다고 진단했다.

MBC도 27일 방영한 ‘당신이 믿었던 페이크’ 프로에서 가짜 뉴스의 실상을 고발했다. 서울 한 아파트 매매가격이 3.3㎡(평) 당 1억 원이라는 한 경제 신문 기사가 대표적인 가짜 뉴스라고 꼬집었다. 실상을 조사해보니 그 기사는 가짜 뉴스였다고 비판했다. 실제 거래 가액은 3.3㎡당 1억 원이 아닌 7천만~8천만 원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문제는 이런 가짜 뉴스가 널리 퍼져 서울 집값을 끌어올렸다는 것이다. 가짜 뉴스가 얼마나 큰 부정적인 파장을 일으키는가를 지적하는 대목이다.

MBC는 경제 TV의 부동산 관련 프로그램 제작의 뒷거래를 파헤쳤다. 부동산 분양업자가 한 달에 수 억 원의 돈을 주고 TV 방송의 일정 시간대에 자기들이 제작한 프로그램을 매일 방영했다고 고발했다.

엄청난 돈을 들여 TV 방영 시간을 구입하는 이유는 관련 회사가 분양을 맡은 주택·오피스텔 등을 팔기 위한 상술 차원이라는 진단이다. 교묘하게 프로그램을 만들어 이를 본 시청자들이 관련 부동산을 구입케 하는 수법이라는 얘기다. 그것도 신뢰도가 높은 국내 3대 공중파 TV 방송 계열인 경제전문 TV가 그런 광고형 프로그램을 오랫동안 방영했다는 거다.

언론과 특정 업자가 짜고 수요자들을 속인 기만행위나 다를 게 없다고 폭로했다.

경제 TV나 부동산 전문 TV에서는 이런 거래가 적지 않았다. 한 경제 TV에서는 아예 내놓고 부동산 물건 판매를 한다.

여기에 등장했던 상품이 여러 투자자들을 곤혹스럽게 만들고 있는 수익형 부동산들이다.

어찌 보면 이런 행위는 정보 제공· 홍보 방안의 하나처럼 보일 수도 있다. 소개한 특정 부동산에 대한 투자 가치는 독자나 시청자가 알아서 판단할 사안일 뿐 구입을 강요하지 않았다면 문제 될 게 없다는 시각이다.

하지만 기사 내용과 이해관계인 사람을 방송에 출연시킬 경우 본질이 오도될 가능성이 크다. 자칫 기만행위가 될 소지가 있다는 소리다.

더 염려되는 것은 이런 일 때문에 언론의 공신력이 떨어져 독자·시청자로부터 외면을 당하게 된다는 점이다.

일반 수요자들이 신문· TV 등의 내용을 믿지 않을 것이라는 말이다.

그렇게 되면 기성 언론은 문을 닫아야 한다는 의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