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고기 연간 5000t가량 소비...국제사회 고립은 아니지만 외교적 이미지 실추
26일(현지시간)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전날 각의(국무회의)를 거쳐 약 30년 만에 상업 포경(판매용 고래잡이) 재개를 위해 IWC를 탈퇴한다고 발표했다.
일본 정부가 식용 고래를 포획할 목적으로 고래 남획 방지를 위한 국제기구에서 탈퇴하기로 하면서 국제사회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G7(주요 7개국) 국가인 일본의 국제기구 탈퇴는 극히 이례적이다.
일본은 IWC 탈퇴 이후 일본 근해나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 고래잡이에 나설 방침이다. IWC의 규정에 따라 다음 달 1일까지 탈퇴 의사를 통보하면 내년 6월 30일에 발효된다.
탈퇴가 확정되면 상업포경은 가능해지지만, 남극해에서 연구 조사를 위한 고래잡이는 할 수 없게 된다.
IWC 탈퇴는 과거 상업포경을 활발히 해 오던 홋카이도, 아오모리 미야기현 등을 지역구로 둔 여당 의원들의 상업포경 재개 압박을 일본 정부가 수용해서 이뤄지게 됐다.
그동안 일본은 IWC에 상업포경을 허용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9월 브라질에서 열린 총회에서 해당 안건이 부쳐졌지만, 반대 41, 찬성 27로 부결됐다.
일본 정부는 IWC 회원국 지위를 유지하면서 고래잡이를 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보고 결국 탈퇴를 선언했다.
일본인들은 고래 고기를 즐겨 먹는 것으로 유명하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의 고래 소비량은 1960년대에는 연간 23만t 이상이었다. 이후 고래잡이 과정의 잔혹성과 식용에 대한 국제적인 비판·포경 제한 등으로 소비가 줄었으나 아직도 연간 5000t가량이 유통되고 있다.
IWC 회원국은 총 89 개국으로 일본 탈퇴 이전에 캐나다와 그리스 등 20 여 개국이 탈퇴하기도 했다. 일본의 IWC 탈퇴가 국제사회에서의 고립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없다는 게 신문의 전망이다. 다만 다자주의를 표방하는 일본 외교적 이미지가 실추될 수 있다. 특히 반(反) 포경 국가인 호주와 뉴질랜드, 영국은 일본이 경제, 군사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해야 하는 국가들이다.
미즈호종합연구소의 준이치 스가와라 수석 연구원도 “탈퇴가 부득이한 측면이 있으나 해외에서 엄격한 지적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