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형 컨테이너 선박 하역작업 40시간→24시간 줄인다
해양수산부는 8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스마트 해상물류 체계 구축전략'을 발표했다.
스마트 해상물류 체계 구축전략은 우리나라 교역량의 99.7%를 처리하고 있는 국가 핵심운송체계인 해상물류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시켜 해상물류의 경쟁력을 높이고 신성장동력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이미 유럽 선진국과 인근 국가인 중국, 일본도 스마트 항만, 자율운항선박 등 해상물류의 스마트화를 국가전략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적극적인 정책 추진을 통해 신속하게 해상물류 스마트화의 선도대열에 합류한다는 목표다.
스마트 해상물류란 자동화ㆍ지능화된 항만과 선박을 기반으로 운용 주체 간 물류정보ㆍ설비운용 연계를 통해 최적화된 해상물류 체계를 달성하는 것을 말한다.
해수부는 2025년까지 스마트 해상물류의 기반을 마련하고 2030년까지 스마트 해상물류를 실현한다는 단계적 목표 아래 △스마트 해상물류 인프라 구축 △연관업계 지원 및 일자리 창출 △시범사업 및 현장실증이라는 3가지 전략을 수립했다.
우선 항만과 선박의 스마트화를 가속화하고 물류설비 간의 연계를 효율화하는 한편, 물류주체 간 정보 공유를 활성화하는 물류정보 생태계를 구축해 해상물류 인프라를 스마트화할 계획이다.
항만의 자동화ㆍ지능화는 각각 2022년, 2021년 목표로 기술개발에 나서고 자율운항선박은 2023년까지 개발을 마쳐 2024~2025년에 현장검증에 들어간다. 항만과 선박, 항만과 항만, 항만과 육상을 연결하는 해상운송 인프라 효율화도 추진한다.
이에 더해 스마트 컨테이너 개발, 수출입 자율주행차량의 자동하역 지원 시스템 개발 등 미래를 대비한 도전적인 연구개발(R&D)도 추진할 예정이다.
또 자동화로 인한 일자리 전환대책 마련과 신규 일자리에 맞는 전문인력 양성을 추진하고 인재개발부터 창업(스타트업) 육성, 투자 지원까지 생애주기 전 단계를 지원하는 ‘창업 종합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해 신규 일자리를 지속 확대한다. 이를 위해 2023년까지 1300억 원 이상 규모로 조성하고 해양 모태펀드에 스마트 해상 물류 분야도 포함할 계획이다. 항만 자동화에 따른 일자리 전환대책도 마련한다.
아울러 개별적인 사업추진 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해상물류 관련 민간 협의체와 전문가, 정부 실무자를 포괄하는 ‘스마트 해상물류 협의체’를 구성해 민·관 협력과 정부 정책 발굴을 위한 지속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런 계획에 따라 시범사업 및 현장실증을 통해 문제점을 보완하고 상용화를 준비해 나갈 예정이다. 광양항에서 항만 자동화 설비의 연계 실증을 추진하고 부산항과 인천항에서는 항만 지능화 및 주체 간 연계 효율화 사업을 추진한다. 울산항에서는 에너지 분야 창업기업 육성과 물류정보 생태계 구축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2025년까지 이러한 과제들을 추진해 2만40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하역작업을 현재 40시간 수준에서 24시간 수준으로 줄이는 등 기존 터미널 대비 연간 1200억 원 이상의 편익(5만톤급 3선석 터미널 기준)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대형 해양사고 제로화 및 전체 해양사고 2582건에서 1153건으로 50% 감축을 달성하고 해상물류 정보 생태계 구축을 통한 신규 서비스 창출 및 창업 기업 300개를 육성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