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인도 코트라 무역관이 말하는 성공조건... 베트남, 현지 기업과 합작 필수... 인니, 외국기업 통관절차 등 깐깐
박한수 서남아시아지역본부장 겸 뉴델리무역관장은 22일 기자와 만나 스타트업 강국으로 성장하는 인도를 주목하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인도 스타트업 유니콘기업(기업가치가 1조 원이 넘는 스타트업)이 13개로 미국, 중국, 영국에 이어 네 번째”라며 “이번 한·인도 정상회의에서 양국 스타트업 교류 협력도 적극 지원하기로 해 규제가 많지 않은 인도 스타트업 진출을 노려볼 만하다”고 조언했다. 이투데이는 아세안 9개 무역관과 인도 무역관 등 코트라 무역관 10곳과 함께 국내 기업 진출 시 성공조건과 걸림돌(규제사항)을 살펴봤다.
◇인도=국내 기업 진출 시 반드시 현지 컨설팅사의 자문을 받을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인도는 지방분권이 이뤄진 국가여서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 지방정부의 관련 규정을 세세히 살펴야 한다. 문제는 제도와 절차가 복잡하고 현지 공무원의 재량 폭이 넓어 현지 컨설팅사의 자문을 받지 않으면 중간에 문제가 생겼을 때 대응하기 어려워 법인이나 공장 허가가 늦어지는 등 피해가 발생하는 사례가 많다고 한다.
◇베트남= 지난해 경제성장률 7.08%를 달성한 베트남은 올해에도 6% 중반의 성장률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베트남은 까다로운 진입 기준으로 사실상 현지 기업과 합작투자를 통해 진출해야 해서 현지 기업과의 유대와 관계 설정이 사업의 성공을 좌우한다.
합작투자 시 대부분 실질적 투자비용인 현금과 현물투자는 외국 투자자가, 공장 및 토지는 베트남 투자자가 내는 형식으로 이뤄지는데 기업이 어려워지면 외국 기업에 책임을 전가하는 사례가 많다고 한다. 아울러 원부자재 수급이 어려워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만큼 투자 진출 시 원부자재 수급에 대한 확실한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가장 큰 애로사항은 불투명한 행정 절차로 수입 허가에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다. 또 공장 임대료가 비싸고 200만~300만 달러 이상의 투자를 요구하는 사례가 빈번하고 인프라 개선에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점도 주의해야 한다. 특히 베트남 과세당국이 최근 로열티와 경영자문료, 기술 용역료, 이자 등 용역 거래에 과세권을 확대하고 있어 종합 세무관리 능력이 없는 중소기업의 행정 부담이 커질 우려가 있다.
◇미얀마= 외국인 투자로 연 6~8%의 성장률을 보이는 미얀마는 아시아에서 유일한 미개척 국가다. 미얀마는 행정 관행이 후진적인 데다 금융시장이 낙후돼 현지 자금 조달이 어려워 미리 자금 계획을 세워야 한다. 또 시장 정보 절대 부족, 부동산 소유 금지, 외국 기업 차별 등으로 진출 초기 비용이 상당이 소요되고 수익은 창출하기 어려워 미래를 위한 장기적 계획을 갖고 진출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정부 관료와 현지 유력 기업과의 네트워킹이 중요하며 법률·제도 변경이 잦고 통관 및 허가 등 행정처리에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캄보디아= 최근 5년 이상 연평균 7% 경제성장률을 보인 캄보디아는 태국·베트남·라오스 3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어 수출형 노동집약 제조업 기업에 매력이 있다. 캄보디아는 아직 시장에 대한 공개적 정보나 유통·물류 인프라가 부족하고 공무원의 부정부패가 많아 국내 기업 진출 시 투자비용이 증가하거나 적법하지 못한 진행으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초기 진입 시 현지의 파트너사와의 합작투자나 현지 기업 지분 투자 혹은 인수합병 등을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외국 기업에 대한 잦은 세무조사와 급속한 실질 임금 상승, 잦은 노동규제 변화가 한국 투자 기업의 생산성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고 한다.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동남아 소비재 시장의 테스트 베드다. 말레이계 말레이시아인을 우대하는 ‘부미푸트라 정책’을 잘 살펴보고 국영기업 발주나 공공공사 수주 시 말레이계 현지 업체를 독점 에이전트로 선정하거나 말레이계 지분이 포함된 합작 투자회사 설립을 준비해야 한다. 또 업무처리 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고려해 매사 충분한 시간을 갖고 업무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태국= 올해 3.9% 이상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태국은 인도차이나반도의 중심 시장이다. 현재 태국 정부가 중진국 함정 탈출을 위한 10대 미래 산업 육성 및 동부경제회랑(EEC) 개발을 하고 있어 기업 진출 시 이 분야가 유리하다. 다만 프로젝트 진출 시에는 태국 왕실이나 고위층을 사칭한 허위 사례가 많아 주의해야 한다.
태국은 3개 업종군으로 나눠 외국인 투자 제한을 하고 있는 데다 현지 자금조달에 애로가 있다고 한다. 아울러 외국인 1명당 자본금 200만 밧(6800만 원)과 태국 현지인 4명 고용 의무 규정이 있고 체류비자 및 노동허가 발급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필리핀= 최근 5년간 6% 후반대 성장률을 보인 필리핀은 세계 8대 광물 부국으로 꼽히는 나라다. 현지 기업과의 협력 진출 강화, 한류 활용 소비재 진출, 인프라·방산·무상원조 등 경협 이슈 등을 적극 활용하면 필리핀 진출이 용이하다. 필리핀은 안보, 언론, 교육, 소매 등을 제외하면 이론적으로는 100% 직접투자가 허용되지만 주요 업종에 대해 외국인 투자 제한을 두고 있어 외국인 투자의 걸림돌로 작용한다.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는 인구 대국으로 최근 5년간 5% 내외의 경제성장으로 소비재 분야에서 잠재력이 크다. 철저한 시장조사와 관련 규제사항 및 의무이행 사항에 대해 사전에 상세하게 파악해야 한다. 또 투자 진출의 경우 최소 자본금이 100억 루피아(약 8억 원)로 초기 자본이 많이 든다.
인도네시아는 외국 기업의 진입장벽이 높고 까다로운 통관절차와 인증 발급 등이 걸림돌이다.
◇라오스= 매년 5~7%대의 성장을 이어가는 라오스는 아세안 국가 중 유일하게 바다가 없는 내륙국으로 물류 환경이 미흡하다.
보수적이고 느린 성향의 라오스에 안착하려면 인내와 초기 자본력이 필요하다. 물류 환경이 좋지 않아 가격경쟁력 확보가 어려운 점을 고려해 라오스에서 원자재 조달이 가능한 부가가치가 높은 사업 분야를 찾거나 지정학적 이점, 국가개발전략 실행 등을 고려한 투자사업 발굴 및 타당성 검토가 필요하다.
◇싱가포르= 올해 2.7% 성장률이 전망되는 싱가포르는 글로벌 기업의 지역본부가 밀집한 비즈니스 허브다.
싱가포르에 진출하고 싶은 기업은 시장 규모, 소비 성향 및 유통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함께 해외 네트워크를 확보한 현지 파트너사와의 장기적 관계 형성이 중요하다. 또 법인 설립이 쉬우며 투자환경이 우수하지만, 사업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제반비용(임대료, 체재비 등)이 많이 드는 데다 업종별 라이선스가 필요해 전문 법률기관을 통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