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59세 25만명 줄고 65세 이상 54만명 늘어…노인 일자리 계기로 60세 이상 취업자 급증
통계청의 ‘2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26만3000명 증가했다. 산업별로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23만7000명),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직(29만9000명)에서 크게 늘었다. 일용직도 4만 명 증가로 전환되고, 임시직은 감소 폭이 크게 축소됐다.
30만 명 안팎의 증가세를 유지했던 상용직을 제외하면 산업 및 종사상 지위별 고령자 편중이 뚜렷했다. 60세 이상 취업자는 412만6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9만7000명 늘었는데, 대부분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시직에 흡수됐다. 반대로 15~59세 취업자는 13만4000명 감소했다. 인구가 24만9000명 감소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고용지표의 고령자 의존도는 두 가치 측면에서 앞으로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
먼저 인구구조가 급변하고 있다. 15~59세 인구는 줄었지만, 60세 이상 인구는 53만9000명 늘었다. 60세 이상 취업자가 증가하는 게 당연한 상황이다.
여기에 정부가 노인 일자리 사업을 1월부터 조기 시행하면서 65세 이상 취업자가 26만2000명 급증했다. 인구 증가분(30만9000명)의 84.8%에 달하는 규모다. 65세 이상 고용률이 27.9%에 불과한 점을 고려하면, 15만 명 이상의 노인이 노인 일자리 사업을 계기로 비경제활동인구에서 취업자로 전환됐다는 말이 된다.
노인 일자리는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대표적인 직접 일자리 사업이다. 크게 시니어인턴십, 공익활동, 재능나눔, 인력파견형, 기업연계형, 시장형사업단, 고령자친화기업 등 7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올해엔 지원 규모가 61만 명으로 지난해보다 10만 명 확대됐다. 단 전체 노인 일자리의 약 80%를 차지하는 공익활동과 재능나눔의 활동비가 각각 월 10만 원, 27만 원에 불과했다. 이에 올해부턴 월 65만 원의 임금이 지급되는 사회서비스형 일자리가 추가됐다.
노인 일자리는 고용지표 개선에 큰 역할을 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정부가 노인 일자리 사업의 조기 시행을 위해 공고를 냈고, 그때 지원했던 사람들이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등 산업으로 유입되면서 (취업자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선 제조업,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등 부진 산업의 업황 회복이 아닌 재정으로 취업자 증가를 유지하는 데 대한 부정적인 목소리도 나온다. 다만 인구구조 변화 등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하면 노인 일자리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노인 일자리를 중심으로 취업자가 늘어나는 건 바람직하지 않지만,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예전 같은 취업자 증가는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대여명은 느는 데 민간에는 노인들이 일할 일자리가 충분치 않다”며 “노인들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선 노인 일자리를 부정적으로만 보기도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