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등 10개 관계부처, ‘5G+ 전략발표’
정부가 2026년까지 5G(5세대)이동통신기술을 활용한 산업을 180조 원 규모로 확대하고 60만명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5g+전략’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민간과 협력해 30조원을 투입, 2022년까지 5G 통신망을 전국적으로 조기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10개 관계부처는 8일 서울 올림픽공원 K-아트홀에서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기념하는 행사인 ‘KOREAN 5G Tech-Concert’를 개최했다. 행사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은 축사를 통해 “세계 최초이자 세계 최고의 5G생태계를 조성해서 청년들에게는새로운 도전의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5G시대를 ‘체증 없는 통신 고속도로’에 비유하며 새로운 산업을 선점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4세대 이동통신은 아직까지는 빠르지만, 가까운 미래에는 결코 빠르지 않게 된다”며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자동차, 스마트공장 등 데이터 통신 분야가 급속도로 늘어나면 기존 통신망이 과부하가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4차산업혁명 시대에는 방대한 데이터를 아주 빠르게 전송하고 실시간으로 모든 것을 연결하는 5G 이동통신이 대한민국 혁신성장의 인프라가 될 것”이라며 “4차산업혁명시대 자동차, 드론, 로봇, 스마트공장, 스마트시티 등 산업 전체의 혁신을 통한 동반성장을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 5G관련 업계와 정부가 계속 노력할 것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국가 차원의 5G전략을 추진해 2026년 세계시장의 15%를 점유하고, 양질의 일자리 60만개 창출, 730억불 수출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며 “‘민관합동 5G 플러스 전략위원회’를 구성하고, 모든 부처가 한 팀이 돼 5G 조기 활성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스마트공장, 자율주행차 등 5개 서비스와 차세대 스마트폰, 로봇, 드론 등 10개 산업 분야를 ‘5G+(플러스) 전략산업’으로 지정하기로 했다. 정부는 5G산업 발전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문 대통령은 정부와 민간이 30조원 이상을 투자해 5G 전국망을 2022년까지 조기에 구축해 5G 기반의 신산업과 서비스를 육성하겠다고도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