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15일 총파업에 동참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서울에서 7400여 대의 버스가 멈춰설 것으로 우려된다.
9일 서울시버스노동조합에 따르면 조합원 파업 찬반 투표 결과 재적 조합원 대비 찬성률 89.3%로 파업이 가결됐다.
이날 61개 회사(63개 노조) 재적 조합원 1만7396명 중 1만6034명이 투표에 참여해 찬성 1만5532명, 반대 469명, 무효 33명 이었다.
서울버스노조는 지방노동위원회 조정이 최종 불발되면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산하 전국자동차노동조합총연맹이 예고한 15일부터 전국 버스노조와 함께 파업에 돌입한다.
3월 말 기준 서울 시내 전체 버스회사는 총 65개, 노선 수는 354개, 차량 대수는 7405대다.
그러나 서울은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에 따른 현안에서 한발 물러서 있다.
지난해부터 인력을 300명 이상 추가로 채용하고, 운행 횟수를 줄이는 방식으로 주 52시간제를 단계적으로 적용한 데다 준공영제(적자분을 지자체가 보전해주는 제도)로 재정 여건이 다른 지방자치단체보다 낫기 때문이다. 서울시 버스기사의 평균 근로시간은 47.5시간이다.
하지만 서울시버스노조는 여전히 일부 장거리 노선의 경우 근로시간이 주 52시간을 초과하게 된다며 추가 노선 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또 5.9% 임금 인상을 비롯해 정년 연장과 학자금 등 복지기금 연장도 주요 요구 사항이다.
사측은 경영상 부담을 이유로 임금 인상과 복지기금 연장에 반대하고 있다.
주 52시간제 타격이 가장 큰 경기버스 노조는 해결책으로 요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지만, 경기도는 서울, 인천이 동조하지 않는 한 단독으로 올릴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버스 노조 파업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부단체장을 소집해 버스요금 인상 등 적극적인 대처를 당부했다.
이날 국토부는 서울 용산에 있는 국토부 회의실로 전국 17개 시·도 부단체장을 불러 버스 파업 및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과 관련한 지자체 대응 계획을 점검했다.
김정렬 국토교통 2차관은 "버스파업 시 비상수송대책에 만전을 기하고 불법 파업은 엄중히 대처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