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엠 노조가 전면파업에 들어갔다. 기본급 인상 등 노조의 임금협상 요구안을 회사 측이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한 데 따른 것이다. 파업은 11일까지 이어질 예정으로, 노조는 한국지엠 소속 조합원 8000여 명과 연구개발(R&D) 신설법인 GM테크니컬센터코리아 소속 조합원 2000여 명 등 모두 1만여 명이 참여한다고 밝혔다.
한국지엠 노조의 전면파업은 2002년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이 회사의 전신인 대우자동차를 인수한 이후 처음이다. 이번 파업으로 1만 대 이상의 자동차 생산차질이 예상된다. 노조는 기본급 5.65% 인상, 통상임금 250%(약 1023만 원)의 성과급과 격려금 650만 원 지급 등을 요구했다. 그러나 사측은 지난 5년간(2014∼2018년) 누적 순손실이 4조4518억 원에 이르는 등 경영난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며 임금이 동결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우려스럽기 짝이 없다. 한국지엠은 적자 누적으로 작년 2월 군산공장을 폐쇄했다. 사업장 철수를 막기 위해 산업은행을 통한 8000억 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되면서 부도 위기를 넘겼다. 공적자금은 국민 세금이다. 미국 GM본사는 한국 사업장 10년 이상 유지, 신차 2종 생산을 약속해 국내 공장 가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럼에도 한국지엠이 경쟁력을 높여 자생력을 갖출 수 있을지 여전히 의문이다. 판매량 감소로 공장가동률이 계속 저조하다. 이런 상황에 노조가 대폭 임금인상을 요구하면서 파업을 벌인 것이다.
최근 GM본사는 한국지엠 노조의 파업으로 생산차질이 누적되면 한국에 배정된 물량 일부를 다른 나라로 뺄 수 있다는 경고까지 했다. 이 경우 한국지엠은 또다시 심각한 위기를 맞게 된다. 그렇지 않아도 미국 GM은 작년 11월 북미공장 5곳을 폐쇄키로 하는 등 대규모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 언제 또다시 한국철수론이 불거질지 알 수 없다.
지금 국내 경제상황은 최악이고, 특히 자동차산업은 글로벌 차원의 수요 감퇴에 직면하고 있다. 강경투쟁 일변도로 해마다 습관성 파업을 일삼아왔던 현대자동차 노조는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을 분규 없이 타결했다. 2011년 이후 8년 만이다. 산업 전체의 위기에서 노사 공멸을 막기 위한 대승적 합의였다. 르노삼성자동차는 생산량 감소로 이미 부산공장 직원의 희망퇴직 등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한국지엠 노조도 이 같은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회사의 장기생존을 위한 경영정상화가 최우선 과제다. 노사 양측이 고통을 분담한 구조조정과, 생산성 제고 및 판매력 강화 등으로 자생력을 키우는 데 힘을 모으는 것이 어느 때보다 긴요하다. 노조의 무리한 임금인상 요구와 파업은 경영난만 더욱 가중하고, GM이 한국 생산물량을 축소하는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결국 자신들의 일터마저 잃는 최악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