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원인에 왜 배터리 없나?” 국감서 난타 당한 ESS

입력 2019-10-07 17: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LG화학 난징공장서 생산한 특정 배터리 결함…사후 대책도 강화해야"

(연합뉴스)

잇단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에 2차전지 산업이 국정감사에서 난타를 당했다.

화재 사고 원인 규명과 대책 발표 이후에도 화재가 재발하면서 지난 화재에 대한 조사와 대책이 제대로 이뤄진 것이 맞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 국정감사에서 이철규 자유한국당 의원은 “국과수의 감정서를 보니 충북 제천, 울산 ESS 화재도 배터리 문제로 인해 발화했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이야기가 있다”며 “그럼에도 ESS 배터리에 대해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는 것은 산업부가 추진하고 있는 태양광 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 사업의 기술적 흠결이 생기거나 부담이 갈까봐 숨기고 있는 거 아니냐”고 지적했다.

앞서 산업부는 2017년 8월부터 1년 9개월간 ESS 설비에서 23건의 발생하자 지난해 말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ESS에 대해 가동중단을 요청했다.

이어 지난 6월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위원회의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체계 미흡 등 4가지 요인을 화재의 원인이라고 꼽았다.

배터리의 결함으로 인한 화재의 가능성도 제기됐으나 배터리 셀의 결함을 모사한 실증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아 배터리는 직접적인 화재의 원인에서 제외됐다.

이에 대해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조사위에서 모사한 검증 실험을 진행했고 배터리는 발화 지점이지 원인은 아니다”며 “발화지점은 배터리에서 나올 수 밖에 없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배터리에 대한 지적은 계속 이어졌다. 이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LG화학 배터리의 안전성을 도마 위에 올렸다. 이 의원은 LG화학 배터리의 화재사고 건수는 총 14건으로 전체 화재 26건의 54%를 차지하며, 모두 2017년 2분기부터 4분기 동안 LG화학 중국 난징(南京)공장에서 만들어진 초기 물량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만약 열악한 설치환경과 배터리 시스템의 문제가 아닌 PCS 등의 문제였다면 2018년 이후 제품에는 왜 단 한 번의 화재도 일어나지 않았는지 합리적인 의심이 가능하다”며 “특정 시기에 만들어진 LG화학의 배터리 제품에 확실히 문제가 있다고 말해도 무리가 없다”고 지적했다.

성 장관은 “LG화학 배터리 화재가 14건 발생한 것은 사고조사위원회에서도 인지하고 있으며 (문제 배터리를) 모사해서 여러 차례 토론과 실험을 했는데도 배터리로부터 발화가 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성 장관은 정부가 LG화학 측에 비공식적으로 배터리 리콜을 요청했다는 의혹에는 “ESS는 최종 제품이 아니라서 리콜 대상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이날 국감에서는 ESS 배터리를 생산하는 LG화학과 삼성SDI 측이 증인으로 참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