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고기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육류 및 낙농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제니퍼 휴스턴 미국 축산협회장은 7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글로벌푸드포럼에서 “진실을 알리기 위해 이 자리에 나왔다”면서 “인공고기업자들이 자신들의 제품을 ‘우유나 고기’로 부르는 것을 제한하는 법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육류와 낙농업계를 대변하는 단체들은 소고기로 만들어진 제품과 대두·아몬드·완두콩으로 만들어진 대체식품과의 차별성을 강조하는 홍보에 나섰다.
이 같은 목소리는 실행에 옮겨지는 단계다. 올해에만 미국 27개 주에서 인공고기의 라벨링 감시를 촉구하는 내용을 담은 법안 45개가 도입됐다.
지난달에는 미국 식품의약청(FDA)도 식물성 인공고기류를 포함한 식품에 라벨링 표준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에 대한 청문회를 개최했다.
프랭크 야나스 FDA 식품 정책 담당 부국장은 “정부는 인공고기에 고기나 우유 같은 용어를 쓸 수 있는지에 대한 1만3000여 건의 의견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식품은 정확하게 표시돼야 한다. 소비자를 기만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당장 인공고기 업체가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은 해당 법안들이 표현의 자유를 위반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소비자들이 제품 내용이 뭔지 착각해서 인공고기를 선택하고 있는 게 아니다”라면서 “비동물성 성분으로 만들어진 두유와 완두콩 버거를 선호하는 것”이라고 응수했다.
비영리단체 굿푸드의 제시카 알미 정책담당 책임자는 “소비자는 바보가 아니다. 그들은 무엇을 사고 있는지 잘 알고 있다”면서 “정부가 개입해 검열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정말 불공평하다”고 비판했다.
미국 육류 및 낙농업계가 시장 보호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이유는 임파서블푸드나 비욘드밋 같은 대체육류 제조업체들이 급부상했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인공고기 매출은 올 들어 8월 말까지 8% 증가했다. 반면 소고기와 돼지고기, 닭고기 매출은 정체 현상을 보이고 있다. 버거킹과 맥도날드 등 대형 체인점들이 수만 개의 매장에서 인공고기를 메뉴에 추가하고 나선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2011년 임파서블푸드를 창립한 패트릭 오 브라운은 “우리 임무는 매우 간단하다”면서 “2035년까지 음식에 있어 동물을 완전히 대체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의 비전이 머지않아 실현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글로벌 경영컨설팅업체 AT커니의 연구 보고서는 “2040년쯤이면 우리가 먹는 고기는 더 이상 도살된 동물에서 나오지 않는다”고 적었다.
미국인들은 1년에 평균 27kg의 소고기를 먹는다. 그런데 소고기 산업이 오랜 기간 유지해왔던 왕좌를 계속 이어갈 수 있을지 의문이 커지고 있다고 WSJ는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