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은 막았지만…이제는 '토착화' 공포

입력 2019-10-31 11: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멧돼지 매개체 가능성 커…'풍토병' 자리 잡을 우려 커져

▲30일 경북 영덕군 강구면 삼사리 삼사항 앞바다에서 발견된 멧돼지가 해경과 포획단에 사살돼 인양되고 있다. (연합뉴스)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확산이 수습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마지막 발생 이후 최대 잠복기인 3주가 지나도록 추가 확진은 나오지 않고 있다. 하지만 경기도와 강원도 접경지역 야생멧돼지에서 바이러스 검출이 이어지면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국내에 토착화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31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올해 9월 17일 경기도 파주 양돈농장에서 처음 발생한 뒤 파주(5곳), 연천(2곳), 김포(2곳), 인천 강화(5곳) 등 총 14개 농장에서 발생했다.

이달 9일 연천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발생은 없는 상황으로 최대 잠복기인 3주를 넘기면서 급한 불은 끈 것으로 보인다. 대규모 살처분을 감행하면서까지 총력을 기울인 정부의 차단 대책이 어느 정도 효과를 가져왔다는 평가도 나온다.

하지만 이제 문제는 야생멧돼지로 넘어갔다. 이달 초부터 확인되기 시작한 야생 멧돼지의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는 29일 2건이 추가되면서 총 18건으로 늘어난 상태다. 정부도 멧돼지를 통한 감염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다.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점검회의에서 "군 부대, 산불진화대, 민간엽사까지 집중 투입해 (멧돼지) 폐사체 수색을 하고 있다"며 "철저한 수색과 함께 발견한 폐사체 처리에 만전을 기하고, 국방부와 각 지자체는 비무장지대(DMZ), 민통선, 그리고 접경지역을 철저히 소독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들 지역에서는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해 방제헬기와 광역방제기를 집중 투입하고, DMZ, 민통선 일대에 대한 소독도 강화할 방침이다. 일반 양돈농가에서도 훼손된 울타리를 보수하고, 야생동물 기피제가 제대로 사용되고 있는지 점검한다.

야생 멧돼지는 서식지 파악이 힘들고, 아프리카돼지열병 치사율도 사육 돼지에 비해 낮아 매개체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앞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했던 아프리카와 유럽에서도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풍토병으로 토착화 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 따르면 2007년 조지아를 통해 동유럽에 전파된 돼지열병은 불가리아와 폴란드, 헝가리 등 동유럽 전역으로 확산된 이후 풍토병으로 남았고, 야생 멧돼지가 매개체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여전히 발생 원인이나 감염 경로가 파악되지 않은 상황에서 야생 멧돼지가 바이러스를 옮길 경우 아프리카돼지열병을 근절하기는 쉽지 않다.

방역 당국 관계자는 "현재 국내 야생 멧돼지는 약 30~40만 마리로 추정된다"며 "방역관리를 쉽게 할 수 없는 데다 번식력도 좋고 포획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야생 멧돼지가 전국으로 돌아다닐 가능성도 있다. 우희종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는 "북한에서 감염된 멧돼지가 남하했을 가능성이 크다"며 "멧돼지에서 바이러스가 발견되는 것은 위험 상황이며, 멧돼지가 중부 산악지대나 다른 지역으로 옮겨가는 것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