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조선업 부활 신호, 구조개혁 더 가속화해야

입력 2019-11-13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 조선업이 지난달 세계 선박 발주량의 86%를 가져오면서 중국을 제치고 글로벌 선박 수주 1위를 되찾았다. 올해 누적 수주물량에서도 중국을 앞섰다. 고부가가치 선박의 수주 경쟁에서 우위를 점한 덕분이다.

영국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 자료에서 10월 글로벌 선박 발주량 150만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 38척 가운데 한국이 129만CGT(17척)를 수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수주량은 전년 동기에 비해 324% 늘었고, 수주액도 26억 달러로 287% 증가한 수준이다. 반면 중국은 같은 기간 15만CGT(8척), 일본 3만CGT(2척) 수주에 그쳤다.

이로써 한국은 올해 1~10월 누적수주량 695만CGT(161척), 글로벌 점유율 39%로 1위에 올랐다. 중국은 611만CGT(265척)·35%로 2위, 일본이 233만CGT(139척)·13%로 뒤를 이었다. 수주액도 한국이 159억7000만 달러로 중국 136억7000만 달러를 앞섰다. 초대형 컨테이너선,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등 고부가 선박 수주에서 압도적 우위를 보인 성과다. 한국이 수주하지 못한 고부가 선박은 대부분 중국, 일본 등이 자국에 발주한 물량이었다.

그동안 우리 조선업은 저임금 노동력을 무기로 한 중국에 가격경쟁력에서 밀려 수주량이 뒤처졌다. 지난 몇 년간 글로벌 선박 경기 침체와 해양플랜트 발주 중단에, 설비과잉 상태의 국내 조선소들 간 출혈경쟁까지 겹친 적자누적으로 위기가 심화했다. 결국 중소 조선소들의 퇴출과 업계 전반의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이 이뤄졌다. 최근의 고부가 선박 중심 수주 호황은 우리 조선업의 최고 수준 기술력을 입증한 성과이자, 산업 부활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앞으로의 전망도 밝은 것으로 점쳐진다. 내년부터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가 시행되면서 친환경 선박 발주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이 분야 기술력에서도 우리가 글로벌 우위를 굳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확실성은 여전하다. 중국 등의 추격으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친환경 및 스마트 선박 등의 기술경쟁력에서 격차를 더 벌리지 않으면 언제든 중국에 따라잡힐 수 있다.

조선업 기술혁신을 촉진하고 규모의 경제와 효율을 높이기 위한 구조개혁이 더욱 절실하다. 당장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합병 건이 빨리 마무리돼야 한다. 독과점과 경쟁제한에 대한 유럽연합(EU)과 중국, 일본 등 경쟁국의 기업결합 심사가 난관이다. 조선업은 대규모 금융과 노동 투입이 결합되고, 고용과 전후방 효과가 막대한 국가 기간산업이다. 경쟁력에 주안점을 두고 구조개혁을 가속화하는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 대안도 없이 기득권만 지키려 하는 노동조합이 계속 발목을 잡는 행태도 멈춰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