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비즈 PR데이’ 4번째 업체 지정
“2차 전지 핵심 부품소재인 리드탭은 일본 스미토모가 글로벌 시장의 60%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유진테크놀로지는 자체 개발한 리드탭으로 일본이 장악한 시장을 뚫을 것입니다.”
지난 17일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만난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는 일본이 장악한 리드탭 시장에서 자사가 독자 개발한 기술로 승부를 보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유진테크놀로지는 이노비즈협회가 진행하는 ‘이노비즈 PR데이’의 4번째 업체로 선정됐다. 이노비즈RP데이는 우수한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을 알리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이날 이노비즈협회와 기자단은 유진테크놀로지의 제1 공장이 있는 충북 청주를 방문했다.
유진테크놀로지는 2차 전지 소재부품을 개발, 생산하는 뿌리기업이다. 리드탭뿐 아니라 정밀금형, 기계부품, 자동화 장비 등 2차 전지 생산에 필요한 전반적인 설비와 정비를 개발, 제조한다. 미국 미시간, 중국 남경, 폴란드에 해외 법인을 두고 있으며 국내 직원 93명을 포함한 전 직원 수는 130명이다. 이 대표와 그의 남편인 여현국 대표가 각자 대표 체제로 있다.
엔지니어 출신인 이 대표는 창업 전 4년 10개월 가량을 뿌리기업에서 몸 담았다.
그는 “경리직 외에 전문직 직원으로 첫 여자 직원이었다”며 “그러나 출장 문제 등 여자라는 이유로 불합리한 경험을 많이 했고, 직접 회사를 차려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창업에 나서게 됐다”고 말했다.
개인 사업자로 시작해 2010년 법인을 전환한 이 대표는 충북 청주시 오송의 한 창고에서 자본금 1000만 원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그는 “아르바이트 비슷하게 시작한 것이 여기까지 오게 됐다”며 “10달 정도 혼자 하다가 후배 6명을 데려왔고, 남편인 여현국 대표도 함께하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여현국 대표 역시 이 대표와 같은 엔지니어 출신이다. 2017년 1월 이달의 기능한국인으로 지정됐는데 당시 나이 마흔 두 살로 ‘최연소 기능한국인’이라는 타이틀도 거머줬다.
이 대표는 리드탭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만큼 유진테크놀로지도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했다. 리드탭은 2차 전지의 양극과 음극을 연결해 외부로 전기를 입출력하는 전극 단자로 2차전지 부품 중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진테크놀로지는 2014년 리드탭을 독자 개발했다.
그는 “3년 전만 해도 일본의 스미토모가 전 세계 리드탭 시장의 80%를 차지했다”며 “현재는 60% 이하 정도로 떨어졌는데 유진테크놀로지의 리드탭 시장 점유율은 1%에 불과하지만 가능성은 무한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요새 국내 영세한 리드탭 제조 업체를 대기업들이 인수하는 경향이 나타나는 가운데 유진테크놀로지만 독자적으로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며 “기술력으로는 유진테크놀로지만 국내 1%”라고 자부했다.
유진테크놀로지의 주로 거래사는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이다. 그중 LG화학이 매출의 40% 가량을 책임지고 있다. 수출 비중은 전체 매출의 31%다. 지난해 매출액 244억 원, 영업이익 13억 원을 기록했다.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액 196억 원을 기록한 유진테크놀로지는 올해 290억 원의 매출액을 달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 대표는 유진테크놀로지의 경쟁력이 다양한 분야의 2차 전지 생산 설비를 제조하는 데서 비롯한다고 단언했다.
그는 “가공을 하는 회사는 가공만, 장비만 하는 회사는 장비만 하는 경향이 있는데 유진테크놀로지는 가공부터 리드탭까지 모든 부문을 이해하고 있다”며 “공정별 기술에 관한 이해도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정부의 뿌리산업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데이터 작업에 약한 부분을 정부가 지원하면 효과가 클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기술이 뛰어난데도 데이터화에 약해 이탈리아 등 외국 업체와 미팅 때 난감한 적이 있었다”며 “정부가 현장에서 피부로 느끼는 애로에 집중해 지원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내년부터 일제히 시행되는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화평법),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에 관한 영향도 적지 않을 전망이다. 유남호 유진테크놀로지 이사는 “화학 물질을 취급하려면 컨설팅을 받아야 하는데 그 비용이 2000~3000만 원 가량”이라며 “힘든 업체들은 불법을 저지를 수도 있는 일”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지방자치단체나 중앙 정부에서 유해 화학 물질 취급 시설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