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자산운용사 관계자에게 ‘펀드 투자’에 대해 묻자 이런 답변이 돌아왔다. 부동산 아니면 사모 펀드가 투자의 해답인 시대다. 기초 자금이 없으면 쉽게 투자할 수 없는 투자처인 만큼 기자와 같은 일반 ‘개미’들은 답을 찾아 나서기도 쉽지 않다.
최근 금융투자업계에는 ‘펀드엔 답이 없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떠돌고 있다. 이 경우에 펀드는 보통 '공모 펀드'를 말한다. 공모 펀드는 불특정 다수가 모이는 만큼 투자금액 허들이 낮지만 규제도 많아 운용이 상대적으로 자유롭지 않다. 사모펀드는 최소 투자금액이 높지만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해, 자유롭고 공격적인 투자로 더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
그러나 투자의 핵심은 수익이다. 사모 펀드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내는 것으로 알려진 반면 공모 펀드 수익률은 시들하다. 지난해 12월 31일 기준으로 국내 주식형 펀드 961개의 연초 이후 평균 수익률은 9.18%에 불과했다. 국내 채권형 펀드(2.39%)나 국내 혼합형 펀드(5.34%) 등도 수익률 두 자리를 넘지 못했다.
공모 펀드 중에서는 해외 주식형 펀드가 같은 기간 25.70%로 높은 수익을 기록했다. 그러나 설정액 규모는 19조2058억 원으로 공모 펀드 전체 설정액(225조5486억 원) 대비 8.52%에 불과하다.
수익률에 더 높은 가점을 준 결과, 사모 펀드 시장과 비교해 공모 펀드 시장은 나날이 위축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국내에 설정된 공모펀드 개수는 총 4137개로, 작년 초(4259개) 대비 –2.95% 줄었다. 반면 사모 펀드는 같은 기간 1만98개에서 1만1016개로 9.09% 늘었다. 조국 전 법무부장관 사모펀드 의혹, 해외금리 연계형 파생결합펀드(DLF)와 라임자산운용 펀드 환매 중단 등 악재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익률이 ‘선방’했기 때문이다.
공모 펀드가 답이 될 수는 없을까. 선택지를 늘리고 싶은 건 정부도 마찬가지인 것 같다. 부동산으로 쏠린 돈을 자본시장으로 끌어와 돈이 돌게 만들고 싶다고 했고, 금융당국은 당초 업계 의견을 반영한 공모펀드 시장 활성화 방안을 지난해 하반기 마련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펀드 관련 악재가 연이어 터지면서 활성화는 커녕, 자유로왔던 사모 펀드에까지 규제가 더해지며 펀드 시장은 더 쪼그라들 위기에 처했다. 사모 펀드를 막을 게 아니라, 공모 펀드를 살아나게 만들면 된다. 규제 완화를 골자로 한 공모 펀드 활성화 방안이 시급한 이유다. 투자의 선택지가 ‘양자택일’이 아닌 ‘사지선다’가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