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까지 능동감시 대상자 116명 중 4명 확진, 15명 조사 중…97명은 음성 확인
정부가 ‘우한 폐렴(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과 관련해 ‘뒤늦게’ 총력 대응에 나선다. 재외국민 보호를 위해 전세기를 띄우고, 우한시로부터 입국한 내·외국인을 전수조사한다. 지방자치단체별 선별진료소와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도 확대한다. 우한시 위생건강위원회가 원인불명 집단폐렴 발생을 발표한 지 28일, 국내에서 첫 확진환자가 발생한 지 8일 만이다.
질병관리본부는 28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조사대상 유증상자가 확진환자 4명을 포함해 116명이라고 밝혔다. 97명은 검사 결과 음성으로 확인돼 격리 해제됐으며, 15명에 대해선 검사가 진행 중이다. 능동감시 대상은 네 번째 환자 밀접접촉자 95명을 포함해 총 369명이다. 국내 확진환자가 늘어남에 따라 정부는 감염병 위기단계를 ‘경계’로 상향하고 지역사회 대응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또 잠복기를 고려해 13일 이후 우한으로부터 입국한 내국인 1166명 등 3023명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한다.
네 번째 확진환자의 경우, 입국(20일) 후 능동감시가 실시된 25일까지 172명과 접촉했다. 이 중 이 중 능동감시 대상인 밀접접촉차는 가족을 포함해 95명이었다.
위기단계 상향 및 대응체계 강화는 네 번째 확진환자 발생으로 방역체계에 구멍이 뚫린 뒤에야 이뤄졌다. 네 번째 확진환자가 처음 의료기관에 내원했던 21일 환자를 격리하지 않고 집으로 돌려보냈던 데 대해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네 번째 확진자가 처음 병원에 방문했을 때 의사가) 더 적극적으로 물어보고 의미를 확인했어야 했는데, 고열이 있었으면 더 물어봤겠지만, 콧물 등 몸살 기운이라고 얘기를 하니까 그렇게 진료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방역 대응체계 강화와 별개로 정부는 각 부처 차원에서 대응책을 마련한다. 기획재정부는 올해 예산에 편성된 208억 원의 방역 대응예산을 신속히 집행하되 목적 예비비(2조 원) 지원을 검토하고, 산업통상자원부는 기업 상황 점검반을 가동해 중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과 국내 산업 동향을 점검한다. 외교부는 귀국을 희망하는 우한 체류 재외국민을 지원하기 위해 30일과 31일 임차 전세를 투입한다.
한편, 이날 오전 9시 기준으로 국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는 총 4572명으로 늘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원인불명 집단폐렴으로 보고된 지난달 31일 이후 28일 만이다.
발병지인 중국에서만 4515명의 확진환자가 발생하고 106명이 숨졌다. 태국(8명), 홍콩(8명), 마카오(6명), 대만(5명), 싱가포르(4명), 일본(4명), 말레이시아(4명), 베트남(2명), 네팔(1명), 캄보디아(1명)(이하 아시아), 미국(5명), 캐나다(1명)(이상 북미), 프랑스(3명), 호주(5명) 등에서도 확진환자가 나왔으나 사망자는 발생하지 않았다.
경제와 관련해선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재현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바이러스의 국내 유입·확산 정도 및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에 따라 부정적 효과가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만큼 2003년 사스, 2015년 메르스 등 과거 사례들을 참고해 관광·서비스업 등 내수경기에 미치는 영향 등을 시나리오별로 철저히 점검·분석하고 필요한 조치를 사전 준비·시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