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파생결합펀드(DLF) 사태와 펀드 환매 중단을 계기로 실시한 사모펀드 전수조사를 완료했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금감원은 지난해 11월 시작한 사모펀드 전수조사를 최근 완료했다. 이번 조사에서 사모 전문 운용사의 총수익스와프(TRS) 계약과 메자닌 자산 투자, 개방형 펀드 운용 등이 펀드 유동성 위기를 촉발할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 것으로 전해졌다.
증권가는 금감원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라임자산운용 외 다른 사모 운용사를 상대로 검사에 착수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사모펀드 시장 전반에 대한 불신이 쌓여 있는 상황에서 또다시 충격을 줄 가능성이 크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해 10월 라임자산운용의 펀드 환매 중단 결정이 발표되고 같은 달 국회 국정감사에서 사모펀드 실태조사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11월 전수조사에 착수했다. 사모펀드 유동성과 투자 구조가 중점 점검 사항이었다.
특히 일부 사모 운용사가 라임자산운용과 유사한 형태로 사모펀드를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라임자산운용과 펀드 자금을 상호 투입하는 등 거래가 많았던 사모 운용사 2곳과 최근 펀드 환매 중단 사태가 발생한 알펜루트자산운용, 그리고 1~2개 사모 운용사가 더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실태조사가 끝났으니 정밀 점검이든 검사 등 취할 수 있는 여러 액션이 있을 것이고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전수조사 이후 곧바로 특정 사모 운용사에 대한 검사에 착수하면 ‘펀드런’이 촉발될 수 있어 조심스럽다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 해당 운용사에 문제가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지면 투자금이 일시에 빠져나갈 우려가 있다. 이는 또 다른 환매 중단 사태로 이어질 수도 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라임자산운용과 유사한 형태로 펀드가 운용됐다고 그 자체가 무조건 잘못됐다는 의미는 아니다”라며 “시장 상황 점검 이후 곧바로 검사를 벌이기는 조심스러운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