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발현기 초기 단계에서 무증상 가능…국내선 아직 확인된 바 없어"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신종 코로나)의 ‘무증상 감염’ 가능성을 처음으로 인정했다. 방역당국은 그동안 무증감 감염을 “과학적 근거”가 없다며 인정하지 않았다.
박능후 중앙사고수습본부장(보건복지부 장관)은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외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진행된 ‘신종 코로나 대응회의’ 관련 브리핑에서 “초기에는 국내로 들어오는 우한시 입국자를 중심으로 환자가 발생했으나, 점차 환자의 접촉에 의한 2차 감염이 발생하는 상황”이라며 “특히 신종 코로나는 증상이 감기 등 일반 호흡기 질환과 유사해 구별이 어렵고 무증상, 경증 환자에서 감염증이 전파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어 기존 감염병에 비해 방역관리를 한층 더 어렵게 만드는 특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까지는 국내 유입 초기 단계에서부터 감염환자를 조기에 찾아내고 있고, 지역사회로 감염이 확산되는 것을 잘 막아내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며 “다만 중국의 감염이 계속 확산되고 있어 이제부터가 정말 중요한 고비가 될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단 ‘무증상 감염’은 ‘잠복기 감염’과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박 본부장은 “무증상은 잠복기 상태가 것이 아니라 잠복기에서 증상 발현으로 넘어가는 초기 단계로 보고 있다”며 “다른 질병은 무증상 잠복기에서 그다음에 증상이 나타나는 발현기로 갈 때 몸의 상태가 여러 가지 징후를 보이는데, 이 질병(신종 코로나)은 발현기로 넘어가는 초기 단계에서 무증상이 있지 않나 보고 있고, 그래서 잠복기 상태에서 감염된다는 뜻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말한다”고 강조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총괄반장(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무증상 감염 사례는 아직 한국에서는 최종 확인된 바 없다”고 밝혔다.
그는 “사실 무증상이라는 것이 사람마다 느끼는 정도가 상당히 다를 수 있는데, 실제 열이 난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열이 나는 것으로 느끼지 못하는 사항이 있을 수 있다”며 “그래서 무증상이라는 것은 아주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측정 기준에 따라서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고, 그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부분에 근거해 역학조사가 이뤄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무증상이라는 것을 과학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해서 한다면 그것이 무증상 감염이 될 수는 있겠지만 지금은 그런 수준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