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부턴 중국인 관광객 감소 등 고용지표 반영될 듯…도소매업 등 직접적 타격
고용시장 그늘이 짙어지고 있다. 외국인 관광객 확대에 따른 숙박·음식점업 등 호황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취업자 증가 폭이 2개월 연속 50만 명을 웃돌았지만, 당장 2월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 사태의 부정적 영향이 고용지표에 반영될 전망이다.
1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보다 56만8000명 증가한 2680만 명으로 집계됐다. 2014년 8월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이다.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8만9000명), 운수·창고업(9만2000명), 숙박·음식점업(8만6000명) 등이 취업자 증가를 주도했다. 반도체 ‘슈퍼사이클’ 종료에 맞물려 부진했던 제조업에서도 8000명 늘며 2018년 4월 이후 21개월 만에 증가로 돌아섰다. 고용률도 60.0%로 1월 기준으론 월간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단 2월 이후에도 이 같은 고용시장 호황을 기대하긴 어렵다. 이달 초 일평균 1만3000여 명에 달했던 중국으로부터 입국자 수가 후베이성 입국 제한(4일) 이후 5000명대로 급감했고, 국내에선 확진환자 이동경로를 중심으로 대형마트 등 휴점이 잇따르고 있어서다. 신종 코로나 지역사회 전파 공포가 확산하며 소비도 급감세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신종 코로나 대응 경제관계 장관회의 겸 경제활력 대책회의를 주재해 “향후 신종 코로나가 서비스업 등에 영향을 미쳐 고용 불확실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직접적으로는 중국인 관광객 의존도가 높은 면세점 등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 타격이 우려된다. 그나마 숙박·음식점업은 최근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도·소매업은 지난해 12월에 이어 올 1월에도 취업자가 9만4000명 줄었다.
2018년 4월 이후 2개월 만에 증가(8000명)로 전환된 제조업도 2월에는 감소로 재전환될 가능성이 크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이날 발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경제적 영향 및 시사점(최원석 세계지역연구센터 중국경제실 중국지역전략팀 부연구위원 외)’ 보고서에서 “우리나라는 중국과 무역·금융의 연계성이 높은 점을 감안할 때 유관산업 및 실물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환율 및 자본 유출입 등 금융부문을 통해서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시기(2003년)와 비교해 한국의 대중국 가치사슬(value chain)이 심화해 중국 내 조업 단축, 중국의 수출 및 소비 둔화가 장기화할 경우 한국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도 커질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우려했다. 총액 기준으로 한국 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3년 1.8%에서 2014년 5.3%로 확대됐다.
중국으로부터 소재·부품을 수입해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업체의 경우, 중국 제조업 부진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정부도 이런 점에 예의 주시하고 있다. 홍 부총리는 “40대 고용 문제 해소와 제조업 분야 일자리 창출 문제 정책 대응에 더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