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적 재정정책·설비투자 회복세..소비·수출도 감염사태후 부진서 벗어날 것
27일 한국은행은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GDP)은 각각 2.1%와 2.4%, 소비자물가를 각각 1.0%와 1.3%를 예상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전망치 대비 올 성장률만 0.2%포인트 낮춘 것이다.
한은은 확장적 재정정책과 함께 설비투자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데다, 감염사태가 진정되면 소비와 수출도 부진에서 벗어날 것으로 봤다. 다만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 향후 성장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은 높다고 예상했다.
코로나19 사태가 3월을 지나 장기화할 경우 추가 하향 가능성이 있다고 본 것이다. 실제 이주열 한은 총재도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기준금리 결정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번 전망은 코로나19사태가 장기화하지 않을 것으로 전제했다. 즉 3월 정점 이후 점차 진정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제하에 기초했다”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보면 코로나19 확산에 불안심리가 증대되면서 민간소비는 단기적으로 위축될 수밖에 없다고 봤다. 이에 따라 올 상반기 민간소비는 기존 1.9%에서 1.1%로 뚝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면 비교적 빠른 회복세가 가능하다며 올 하반기 전망치를 기존 2.2%에서 2.6%로 높였다.
설비투자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정보통신(IT)부문을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일 전망이다. 이 총재도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경기 회복에 대한 기존 전망을 바꿔야할 뚜렷한 변화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건설투자는 주거용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감소세를 지속하겠으나, 사회간접자본(SOC) 등 토목건설 개선으로 감소폭은 점차 축소될 것으로 봤다. 올 상반기 -2.4%에서 하반기 -2.0%를 예상했다.
상품수출은 올해 1.9%에 이어 내년 2.5%를 기록할 것으로 봤다. 미·중 무역분쟁 완화와 반도체경기 회복 등으로 완만한 개선흐름을 나타낼 것이란 전망이다.
성장률을 기여도 측면에서는 내수는 증가세를 이어가겠지만, 수출은 감소후 반등을 예상했다. 순성장기여도를 보면 내수는 작년 1.4%포인트에서 올해 1.6%포인트, 2021년 1.7%포인트로 높아질 전망이다. 반면, 수출은 같은기간 0.6%포인트에서 0.5%포인트, 0.7%포인트를 예상했다.
한은은 정부의 확장적 경기대응정책, 미·중 무역협상 진전 등에 따른 글로벌 보호무역기조 완화를 상방리스크로 꼽은 반면, 코로나19 사태 장기화, 반도체경기 회복 지연을 하방리스크로 꼽았다.
소비자물가도 작년보다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예년 평균을 크게 밑돌았던 농축수산물가격이 지난해보다 높아지는 가운데 석유류 가격도 유류세 인하 종료 등으로 상승률이 높아질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내년에도 경기개선과 복지정책 영향 축소, 집세 상승 등이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봤다.
취업자수는 서비스업 고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제조업 고용부진이 일부 완화되면서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23만명, 내년 20만명 각각 증가할 것으로 봤다.
경상수지 흑자폭은 작년 600억달러에서 올해 570억달러, 내년 540억달러로 점차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상품수지는 반도체경기 회복 등에 힘입어 흑자폭이 확대되겠지만, 서비스수지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외국인 관광객 감소로 적자폭이 확대될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본원소득수지도 흑자폭이 축소될 것으로 봤다. 작년 일시적으로 늘었던 배당소득수지 흑자폭이 줄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