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멈춰선 개발사업] '단군 이래 최대' 용산역세권 개발은 결국 '설레발'?

입력 2020-03-09 06:4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 용산 혁신지구 국가시범사업 조감도. (자료 제공=서울시)

‘단군 이래 최대 개발사업’으로 불렸던 서울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사업비만 무려 31조 원에 달했던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은 첫 삽을 뜨기도 전에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2008년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가 ‘치명타’가 되기는 했으나 서울시의 개발 과욕과 한국철도공사(코레일)·민간회사들의 무리한 사업 추진이 불러온 결과였다. 2013년 4월 백지화된 사업에 다시 불을 붙인 것은 박원순 서울시장이었다. 2018년 싱가포르에서 ‘용산 통개발’, 일명 용산마스터플랜을 언급한 것이다.

용산마스터플랜은 기존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에서 범위를 더 확장해 용산역 일대를 포함해 한강변·서울역을 아우르는 349만㎡ 부지를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개발하는 초대형 개발계획이다. 그러나 섣부른 발표는 집값 폭등을 불러왔고 용산마스터플랜은 또 다시 보류됐다.

통개발은 보류됐지만 서울시가 용산 개발에 완전히 손을 놓은 것은 아니다. 용산역을 중심으로 부분개발에 나섰고, 그 결과 서울 한복판에 위치했으면서도 낡은 건물이 즐비했던 용산역 주변은 고층 주상복합과 쇼핑몰, 대기업 본사 건물들이 들어서며 상전벽해하고 있다.

지난해 말에는 용산역 후면 용산전자상가 인근 유수지와 자동차정류장 약 1만4000㎡를 도시재생 혁신지구로 지정, 개발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서울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업시행자로 나서 6000억 원 규모의 자금을 투입해 공공시설과 신혼희망타운, 청년주택을 짓게 된다.

이에 용산 통개발 가능성도 다시 거론되고 있다. 특히 코레일이 지난 9월부터 용산역 인근 용산국제업무지구 부지 정화작업을 시작한 것을 두고 용산 통개발 위한 전 단계가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서울 주택시장 안정에 ‘올인’하고 있는 상황에서 집값 상승을 불러올 수 있는 용산 마스터플랜을 서울시가 전격 발표하기는 부담스런 상황이다. 박 시장도 최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주택시장이 안정화될 때까지 여의도·용산 마스터플랜을 보류하겠다는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서울 동북권 핵심 개발사업인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 조성사업은 비교적 순항하는 모습이다. 핵심 프로젝트 중 하나인 ‘창동 창업 및 문화산업단지’ 개발사업은 벌써 착공에 나선 상황이다. 오는 2023년까지 약 1만9300석 규모의 국내 최대 실내공연장인 ‘서울아레나’와 예술 관련 스타트업 육성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올해 들어서는 창동차량기지의 개발 방안도 확정됐다. 지난달 서울시가 창동차량기지 일대에 ‘서울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를 조성한다고 밝힌 것이다.

교통 환경도 개선된다. 지난해 서울시가 발표한 제2차 서울시 도시철도망구축계획에 따르면 지하철 4호선 급행화가 진행된다. 또한 노원구 동부간선도로 지하차도 건설사업과 중랑천 상부 연계교량 건설사업도 2023년 말까지 차질없이 추진될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